한국 고전 문학 전산화 자료광

The River of Consciousness
Sorry, but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view this content.
Read More
Life 3.0

Sorry, but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view this content.
Read More

성창순님의 심청가 사설집 서창=곽씨부인 죽은 후 대목에서 심청이가 밥을 빌어 들어오는 대목까지 아니리 옛날옛적 황주땅 도화동에 한 소경이 살았는데, 성(姓)은 심가(沈哥)요,이름은 학규(學奎)라. 누대(累代) 명문(名門)거족(巨族)으로 명성(名聲)이 자자터니, 가운(家運)이 불행(不幸)하여 삼십전(三十前)에 안맹(眼盲)하니, 뉘라서 받들소냐. 그러나 그의 아내 곽씨부인(郭氏婦人) 또한 현철(賢哲)하사 모르는 게 전혀 없고, 백집사(百執事) 가감(可堪)이라. 곽씨부인(郭氏婦人)이 품을 팔아, 봉사 가장(家長)을 받드는데, 중중머리=평계면 삯바느질 관대도복(冠帶道服) 행의(行衣) 창의 […]

Read More

홍긜동전이라(정명기 77장본) – 현대문 조션국 세둉왕 즉위 십오 연의 홍희문 밧기 한 상이 잇스되, 셩은 홍이요 명은 문인이, 졍염강직미 덩망이 거록이 당세의 영웅이라. 일직 용문의 올나 벼살니 님의 청엿던니 명망니 둉뎍정의 읏듬되, 젼 그 덩망을 승이 너긔사 볘살을 도도와 니조판셔로 좌으졍을 엇시니, 승상이 국은을 감동야 갈즁보국이, 방의 일니 업고 도적이 업시 시화연풍어 나라리 평더. 일일은 […]

Read More

홍길동전이(박순호 86장본) 각설. 세종왕 즉위 십 연으 동화문 밧기  이 잇시되, 성은 홍이요 일홈은 일르지 아이되, 승의 위인이 경천공경여 람마닥 일칸넌지라. 일딕 등과야 벼리 우의정의 이르이 충효겸천야 일국의 읏이. 실의 두 아달을 두워시되, 으 일홈른 일형이이 소연등과여 벼리 승지으 잇고, 사의 일홈은 길동이이 비첩 춘섬으 쇼이. 일일른 승니 화원 간으 의디야 죠으더니, 일정전고 츈몽이. […]

Read More
Nudge Cover
Sorry, but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view this content.
Read More

하버드대 소장 심청전 심쳥젼 권지단 송나라 원풍년간의 황쥬 도화동셔 사 소경 하나이 잇쓰되 셩은 심이요 일홈은 학규라 누셰 영지족으로 문명이 터니 가운이 령쳬야 이십의 안니 낙슈쳥운의 발자최 어지고 금자슈의 공명이 뷔여쓰니 학규의 곤한 신셰 감근한 친쳑 업고 겸하여 안하니 뉘라셔 졉하랴마는 양반의 후예로셔 실이 쳥염하고 지조가 정하야 일일졀을 경솔이 아니하니 이 다 군라 이러더라 그 […]

Read More
신재효본 심청가

신재효본 심청가 甲辰五月 日 숑나라 원풍 말연의 황쥬 도화동의  쇼경이 잇시되 셩은 심씨요 이름은 학구라 누 영지죡으로 무명이 터니 가운니 영쳬야 죠년의 안니 낙슈쳥운의 발 어지고 금슈의 공명이 부여씨니 향곡의 곤 신셰 강근헌 친쳑 업고 겸야 안니 뉘라 졉랴만은 양반의 후예로셔 실리 쳥검고 지죠가 경야 일동일졍을 경쇼리 아니 니 람이 다 일칼더라 그 안 […]

Read More

서울대 소장 가람본 46장본 심청전 심쳥젼 단권 송나라 원풍 말연의 황쥬 도화동 사난  소경이 잇쓰되 셩은 심이요 면은 학구라 누 장상거죡으로 문멸이 자자턴니 가운 영쳬야 니십의 안고 낙슈쳥운이 발좌 어지고 금장슈의 공명이 비여쓰니 곡의 곤 신셰 강근 친쳑이 바이 업고 겸야 안니 뉘가 졉하리요마난 양반의 후예라 위인이 졍직고 지조가 경긔야 일동일졍을 경소리 안이니 왈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