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강쇠가(신재효본)
[dropcap]중[/dropcap]년(中年)에 비상(非常) 일이 잇던 거시엇다. 평안도 월경촌(月景村)에 게집 나 있으되, 얼굴로 볼시면 춘이월(春二月) 반개도화(半開桃花) 옥빈(玉鬂)에 얼이엿고, 초생(初生)에 지 달빗 아미간(蛾眉間)에 빗최였다. 앵도순(櫻桃脣) 고흔 입은 빗 당채(唐彩) 주홍필(朱紅筆)로 들립더 찍은 듯, 세류(細柳)치 가는 허리 봄바람에 흐늘흐늘, 그리며 웃 것과 말며 걷 태도 서시(西施)와 포사(襃姒)라도 를 수가 없건마, 사주(四柱)에 청상살(靑孀煞)이 겹겹이 싸닌 고로 상부(喪夫)를 여도 징글징글고 긋긋게 단콩 주어 먹듯 것다.
열다셧에 어든 서방(書房) 첫밤 잠자리에 급상한(急傷寒)에 죽고, 열여셧에 어든 서방 당창병(唐瘡病)에 튀고, 열일곱에 어든 서방 용(龍)쳔병(病)에 페고, 열여듧에 어든 서방 베락마져 식고, 열아홉에 어든 서방 천하에 대적(大賊)으로 포청(捕廳)에 러지고, 스무 살에 어든 서방 비상(砒霜)먹고 돌아가니, 서방에 퇴가 나고 송장 치기 신물난다.
이삼년씩 걸너 가며 상부를 지라도 소문이 흉악(凶惡) 듸 한 에 나식을 전례(前例)로 처치(處置)되, 이것은 남이 아 지동서방(東西方), 그남은 간부(間夫), 애부(愛夫), 거드모리, 호루기, 입 한번 마춘 놈, 졋 한번 쥐인 놈, 눈 흘네한 놈, 손 만져 봇 놈, 심지어 치마귀에 상척자락 얼는 한 놈지 고 결단을 듸, 한 에 뭇을 넘겨, 일 년에 동반 한 동 일곱 뭇, 윤달든 면 두 동 뭇수 고 셜그질졔, 엇더케 씰어지 삼십 리 안팟 상토 올인 사나 고사(姑捨)고 열 다셧 너문 총각도 업셔 게집이 밧을 갈고 처녀가 집을 이니 황(黃) · 평(平) 양도(兩道) 공론(公論)되, 이년을 두어 우리 두 고 죳 단 놈 다시 업고, 여인국(女人國)이 될 터이니 칠 밧기 슈가 없다.
양도가 합세(合勢)여 훼가(毁家)여 , 이년이 일업셔 기여 나올 젹에, 파랑 보 엽페 고, 동백(冬柏)기름 만니 발 낭를 곱게 고, 산호(珊瑚) 비녀 질너시며, 출유(出遊) 장옷 엇이고, 나오면서 혼자 악을 스구나.
“어허, 인심 흉악다. 황·평 양서(兩西) 아니면은 살가 업거냐. 삼남(三南)죳은 더 죳타두고.”
노정기(路程記)로 나올 젹에 중화(中和) 지 황주(黃州) 지 동선령 얼풋 넘어 봉산(鳳山), 서흥(瑞興), 평산(平山) 지여 금천(金川) 젼거리, 달긔우물 쳥셕관을 당도니,
이 에 변강쇠라 놈이 천하에 잡놈으로 삼남에셔 비러먹다 양서로 가노라고 년놈이 오다가다 쳥셕골 조분 길에서 두리 셔로 만나거든, 간악(姦惡) 게집넌이 할긋 보고 지가니 의몽 강쇠놈이 다정이 말을 무려,
“여보시오, 쳐 만루 어로 가시오?.”
숫게집 거드면 핀잔을 던지 못드른 체 가련마, 이 지가나희 훌림목 곱게 써셔,
“삼남으로 가오.”
강쇠가 연헤 무러,
“혼자 가시오.?”
“혼 가오.”
“고운 얼골 혼 가기 무셥것소.”
“ 팔자 무상(無常)여 상부고 자식업셔, 나고 함긔 갈 람은 그림 이지오.”
“어허 불오. 당신은 과부시오. 나 아비니 두리 면 엇더오.”
“가 상부 지질여 다시 낭군(郞君) 엇자 면 궁합(宮合) 몬져 볼 터이오.”
“불취동성(不取同姓)이라 니, 마루 성씨가 누구시오?”
“옹가오.”
“예, 나는 변서방(卞書房)인데 궁합을 잘 보기로 삼남에 유명니, 마누 무슨 생이오?”
“갑자생(甲子生)이오.”
“예, 나 임술생(壬戌生)이오. 천간(天干)으로 보거드면 갑(甲)은 양목(陽木)이오, 임(壬)은 양수(陽水)이니 수생목(水生木)이 죠코 납음(納音)으로 의논면 임술계해대해수(壬戌癸亥大海水) 갑자을축해중금(甲子乙丑海中金) 금생수(金生水)가 더 죠은니, 아죠 천생배필(天生配匹)이오. 오 마 기유일(己酉日) 음양부장(陰陽不將) 배자(配字)니 당일 행례(行禮)옵시다.”
계집이 허락 후에 쳥셕관을 처가로 알고, 두리 손질 마죠 잡고 바우 우의 올나가셔 대사(大事)를 지듸 신랑 신부 두 년놈이 이력이 찬 것이라 일언 야단 업거나. 멀끔 낫에 년놈이 훨셕 벗고 이 장난 졔, 천생음골(天生陰骨) 강놈이 여인 양각(陽刻) 번쩍 들고 옥문관(玉門關)을 구버보며,
“이상이도 기엿다. 맹랑이도 기였다. 늘근 즁의 입일넌지 텰은 돗고 이 업다. 소낙이를 마자지 어덕 깁게 파이였다. 콩밧 팟밧 지던지 돔부이 비치였다. 독긔을 마져던지 금 발루게 터져잇다. 생수처(生水處) 옥답(沃畓)인지 물리 항상 고여 잇다. 무슨 말을 하랴 관 옴질옴질 고 잇노. 천리행룡(千里行龍) 나려오다 주먹바위 신통(神通)다. 만경창파(萬頃蒼波) 죠던지 혀를 여시며, 임실(任實) 곡감 먹어지 곡감씨가 장물이오, 만첩산중(萬疊山中) 으름인지 졔라 졀로 벌어졋다. 연계탕(軟鷄湯)을 먹어던지 긔 벼슬 비최엿다. 파명당(破明堂)을 엿지 더운 김이 그져 난다. 졔 무엇이 질거워셔 반튼 우셔 두거나. 곡감 잇고, 을음 잇고, 죠 잇고, 연계 잇고, 제사장은 걱졍 업다.”
저 여인 반소(半笑)며 가품을 노라고 강 긔물 가치며,
“이이도 기엿네. 맹랑이도 기엿네. 전배사령(前陪使令) 서랴지 쌍걸낭을 늣게 고, 오군문(五軍門) 군뇌(軍牢)던가 복이를 불게 씨고, 물가에 물방안지 구덩덩 덕인다. 숑아미 말인지 털곱비를 둘너. 감기를 어더지 말근 무 일고. 성정(性情)도 혹독(酷毒)다. 화 곳 나면 눈물 난다. 얼린아 병일넌지 젓은 엇디 게워시며, 제사에 쓴 숭어인디 장이 궁기 그져 있다. 뒤 큰 방 노승인지 민가리 둥그린다. 소년인사 다 왓다, 박 박 절을 . 고추 턴 졀구지 검불 무삼 일고. 칠팔월 알밤인지 두 한 부터잇다. 물방아, 졀구되며 쇠곱비, 걸낭 등물 세간사리 걱정 없.”
강놈이 대소야,
“두리 다 빅어시니 이번은 등에 업고 사랑가로 노라 보.”
져 여인 대답,
“천선호지(天先乎地)라니 낭군(郞君) 몬져 어부시오.”
강가 여인 업고, 각금각금 도라보며 사랑가로 얼이운다.
“ 이야, 유왕(幽王) 남 포사 나고, 걸(桀)이 남 말희(末喜) 나고, 주(紂)가 남 달기(妲己) 나고, 오왕(吳王) 부차(夫差) 남 월 서시 나고, 명황(明皇) 남 귀비(貴妃) 나고, 여포(呂布) 남 초선(貂蟬) 나고, 호색남자(好色男子) 가 남 절대가인(絶對佳人) 네 낫구나. 네 무엇을 가지랴나. 조거전후[note]직지 주: 早居前後 – 입력본에는 照車前後라고 되어 있으나, 풀이가 “일찍 잠자리에 들기 전에”인 것으로 보아 早居가 맞는 것 같다.[/note] 십이승(十二乘) 야광주(夜光珠)를 가져 볼가. 십오성(十五城) 박구랴든 화씨벽(和氏璧)을 가져 볼가. 천지신지(天知神知) 아지자지(我知子知) 순금이 가져 볼가. 부도졔 득은옹(得銀甕) 은항아리 가져 볼가. 배금문(排禁門) 입자달(入紫闥)에 상평통보 가져볼가. 밀화불슈, 산호(珊瑚)비녀, 금指環 가져 볼가. 네 무어슬 먹고 십퍼. 둥글둥글 슈박덩이 웃봉지 리고 강릉(江陵) 백청(百淸) 를를 부어 은간져로 휘휘 둘너 씰낭은 다 발나 바리고, 불근 자위만 덤벅 아나 조금 먹으랴냐. 시금털털 살구, 아해셔 먹으랴냐. 고 탁 밧트면 겁질 지 것넌 바람벽에 축쳑축 부디치 반수시 먹으랴나. 어주축수애산춘(漁舟逐水愛山春) 무릉도화(武陵桃花) 복슈화 쥬야. 이월 즁순 이진과 외 가지 당뮈 먹으랴나.”
한을 얼르더니 여인을 썩 나려노며 강가 문자여,
“여필종부(女必從夫)라니 자도 날죰 업쇼.”
여인이 강 업고, 실금실금 불면셔 사가를 구나.
“사 사 사이야. 태산갓티 놉픈 사. 해하(海河)갓티 깁푼 사. 남창(南倉) 북창(北倉) 노적(露積)티 다물다물 싸은 사. 은하직녀(銀河織女) 직금(織錦)티 올올이 힌 사. 모란화 슝이티 펑퍼져 버린 사. 세곡선(稅穀船) 닷줄티 타타 인 사. 가 만일 업셔드면 풍류남자(風流男子) 우리 낭군 황 업 봉이 되고, 임을 만일 못 보드면 군자호구(君子好逑) 이 신세 원(鴛) 일은 앙(鴦)이로다. 지럭이 물을 보고, 이 나부 맛시니 웅비종자요림간(雄飛從雌繞林間) 죠을시고 죠을시고. 동방화촉(洞房華燭) 무엇하게, 백일향락(白日享樂) 더옥 죠타. 황금옥(黃金屋) 사 슬의. 쳥셕관이 신방(新房)이.”
년놈 작난 이러 졔, 재미 잇 그 노릇이 한두 번만 될 슈 잇나. 재행(再行)턱 삼행(三行)턱을 당일에 다 후에 살림리 살 걱졍 두리 안져 의논다.
“우리 내외 오입(誤入)장이 벽항궁촌(僻巷窮村) 살 슈 업셔 도방산임(道傍産任) 여 보.”
“ 소견(所見)도 그러오.”
년놈이 손목 잡고, 도방 각처 단일 젹에 일 원산(元山), 이 강경(江景)이, 삼 푸쥬, 사 법성(法聖)이 곳곳이 차져 당겨, 겨집년은 를 써셔 들병장 막장며, 낫붙임, 넉장질에 돈양 돈관 모와 노면, 강놈 허망여 냥기 방리기, 두 량 에 가고기, 갑리 여수기, 미골회 퇴기질, 호홍호 쌍륙치기, 장군 멍군 장긔두기, 맛쳐 먹기 돈치기와 불너먹기 쥬먹질, 걸기 윳놀기와, 집 두 집 곤의두기, 의복(衣服) 전당(典當) 슐먹기와 남의 싸홈 가로 맛기, 그 즁에 무슨 비우 강암, 겨집치기, 밤낫으로 싸홈이니 암만도 살 슈 업다.
하로 저 여인이 강를 달이되,
“집의 성기(性氣) 가지고셔 도방 살림 다가 돈 모오기 고사(姑捨)고 남의 숀에 죽을 테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차자 가셔 나 업 곳에 산전(山田)이나 파셔 멱고, 시초(柴草)나 부여면 노름도 못 테오, 강도 안 테니 산중으로 드러갑.”
강가 대답되,
“그 말이 장히 조희. 십 년을 곳 굴머도 남의 게집 바라보며, 눈우슘 놈만 다시 아니 보거드면 내일 죽어 한이 업.”
산중을 의논다.
“동 금강(金剛) 석산(石山)이라, 나무 업셔 살 슈 업고, 북 향산(香山) 찬 곳이라, 눈 이여살 슈 업고, 서 구월(九月) 죠타나 적굴(賊窟)이라 살 슈 잇나. 남 지리(智里) 토후(土厚)야 생리(生理)가 죠타니 그리로 차져가.”
여간(如干) 가산(家産) 질머지고 지리산중 차져 가니 첩첩(疊疊) 깁푼 골에 뷘 집이 셔 잇시되, 임진왜란(壬辰倭亂) 팔년 간과(八年干戈) 엇던 부자 피난(避亂)자 이 집을 지엇던지 오간팔작(五間八作) 기와집이 다시 산 일 업고, 흉가로 부여 셔셔 누백년 독갑이 동쳥이오, 묏 귀신의 사랑(舍廊)이라. 거츤 에 있 것이 삭과 여희 발최오, 깁푼 뒤안 우 쇼 부엉이, 옷밤이라. 강놈이 집을 보고 대희(大喜)여 말이,
“순사도(巡使道) 간 듸마다 선화당(宣化堂)이라 더니 팔자도 방사(倣似)다. 적막 이 산중에 나올 쥴을 뉘가 알고, 이리 죠흔 기와집을 지여 노코 기다런노.”
부억에 토정(土鼎) 걸고 방 쓸어 공셕 펴고, 낙엽을 글거다가 젼녁밥 지어 먹고, 터 눌으기 삼삼구(三三九)를 밤록 한 연후에 강의 평생행세(平生行世) 일여 본놈이냐. 낫이면 잠만 고, 밤이면 만 타니, 여인이 슈 업셔 근이 졍셜다.
“여보, 낭군 드르시오. 천생만민필수지직(天生萬民必授之職) 마다 직업 잇셔 앙사부모하육처자(仰事父母下育妻子) 넉넉키 다난 낭군신세 생각[note]직지 주: 입력본에 ‘生覺’이라고 중국글자로 써있다. 생각은 원래 중국글자로 나타낼 수 없는 민우리말인데, 이 글을 입력 하면서 옛날에는 한자에서 소리를 빌려쓰는 경우가 많지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note]니 얼려서 못 흔 글 지금 공부 슈 업고, 숀재주 업셔시니 장인(匠人)질 슈 업고, 밋쳔 분 업셔시니 상고(商賈)질 슈 잇나. 그 중에 노릇이 상일밧게 업셔시니 이 산중 면 산전(山田)을 마니 파셔 두태(豆太), 서속(黍粟), 담 고, 갈키나무, 비나무며 물거리, 장작기, 남우를 마니 여 집에도 련이와 지고 가 팔아시면 부모 업고 자식 업는 단 부처(夫妻) 우리 두리 생계가 넉넉듸, 건장 져 신체에 밤으로 것이 기와 그 노릇. 굴머 쥭기 고사고 우션 얼어죽을 터니 오보터 지게 지고 나무나 여 옵쇼.”
강가 식게 우셔,
“어허 허망다. 호달마(胡達馬)가 요절(腰折)면 왕십리 거름 실고, 기생(妓生)이 그릇도면 질가의 탁주(濁酒) 장, 남의 말로 들어더니 나 튼 오입장이 나무 지게 지단 말가. 불가사문어타인(不可使聞於他人)이나 말리 그러니 갈 밧귀 슈가 잇나.”
강가 나무하러 나가 듸 복건[note]직지 주: 幅巾 – 중국글자 음은 폭권이다[/note]쓰고, 도포(道袍) 입엇단 말은 거짓말. 졔 집에 근보 업고 동내(洞內)에 빌 잇나. 포구(浦口) 근방 시평판에 한 덤벙이던 복색(服色)으로 모 바든 통영(統營)갓에 망건(網巾)은 죡구왔고, 한산반저(韓山半苧) 소의며, 곤 무든 승 보션 남(藍) 한포단(漢布緞) 단임 고, 용감기 몌토리 시있게 들멘 후에, 낫과 독긔 들게 갈라, 점심(点心) 구럭 긔 묵거 지게 우에 모다 언져 억에 들어메고, 진 담 부텨 물고 나무군 모운 곳을 완보행가(緩步行歌) 져 갈져, 그리도 화방(花房) 퇴물(退物)이라 씀씀이 목 그셩이 초군(樵軍)보다 죠금 달나,
“태고(太古)라 천황씨(天皇氏)가 목덕(木德)으로 즉위(卽位)니 오행(五行) 중(中)에 몬져 난 게 나무 덕이 읏듬이라. 천지인(天地人) 삼황시절(三皇時節) 각 일만팔천세를 무위이(無爲而) 지시니, 그 에 나 낫시면은 오죡이나 편컨난가. 유왈유소(有曰有巢) 성인 인군 덕화(德化)도 장시고. 구목위소(構木爲巢) 식목실(食木實)이 그 아니 죠컨가. 수인씨(燧人氏) 무일로 시찬수교인화식(始鑽燧敎人火食) 일이 점점 겨나. 일출이작(日出而作) 요순(堯舜) 백성 엇디 편타 슈 잇나. 하(夏)·은(殷)·주(周) 석양되고, 한(漢)·당(唐)·송(宋) 풍우 일어 가지록 일이 겨 불쌍 게 백성이라. 일년 사절(四節) 놀 업시 숀톱 발톱 자지게 밤으로 버으러도 불승기한(不勝飢寒) 불상다. 평생 먹은 마음 남보단은 달으구나. 죠흔 의복 간진 패물(佩物), 호사(豪奢)를 질 고 엡븐 게집, 죠흔 주효(酒肴), 잡기(雜技)로 벗을 삼아 세월 가 쥴을 모로고 사더니 층암절벽(層岩絶壁) 져 노픈 다리 압파 엇디 가셔, 웍폭, 가시너츌 손이 압파 엇디 뷔며, 너뭇 묵거 왼짐 되면 어 압파 엇디 지고, 산고곡심무인처(山高谷深無人處)에 심심여 엇디 올고.”
신세 자탄(自歎) 노며 정처업시 가노라니. 이 에 둥구마천 모촌에 열어 초군 아들리 나무러 모와와셔 지게 목발 다르며 방아타령, 산타령에 농부가(農夫歌), 목동가(牧童歌)로 작난(作亂)을 구나. 놈은 방아타령을 ,
“뫼에 올나 산전방아, 들에 나려 물방아, 어쥬 예쳔 밀다리방아, 진쳔 통쳔 오려방아, 남창 북창 화약(火藥)방아, 각댁(各宅) 하님 용정방아. 이 방아, 져 방아 다 바리고 칠야삼경(漆夜三經) 깁퓸 밤에 우리님은 가죡방아만 다. 오다 오다 방아 동무덜, 방아 쳐음 던 알고 나 모르고 나. 경신년(庚申年) 경신월(庚申月) 경신일(庚申日) 경신시(庚申時) 강태공(姜太公)의 죠작방아 사시장춘(四時長春) 걸어두고 구덩 여라, 전세대동(田稅大同)이 다 느져 간다.”
놈은 산타령을 ,
“동 개골(皆骨) 서 구월 남 지리 북 향산(香山), 육로(陸路) 천리 수로(水路) 천리 이천리 드러가니 탐라국(耽羅國)이 기랴고 한라산(漢拏山)이 둘너 잇다. 정읍(井邑) 내장(內藏), 장성(長城) 입암(笠岩), 고창(高敞) 반등(半登), 고부(古阜) 두승(斗升), 서해 수구(水口) 막으랴고 부안(扶安), 변산(邊山) 둘너 잇다.”
놈은 농부가를 ,
“선리건곤(仙李乾坤) 태평시절(太平時節) 도덕 놉푼 우리 성상(聖上), 강구미복(康衢微服) 동요(童謠) 듯든 요(堯)ㅅ인군의 버금이라. 네 다라 여라 다리 박. 좌수춘광(左手春光) 우수이(右手移). 여보쇼, 동무덜아! 압 남산(南山)에 쇼나기 졋다. 삿갓 쓰고 도롱이 입자.”
놈은 목동가를 부르,
“갈키 메고 낫 가라 가지고셔 지리산으로 나무러 가자. 얼넌. 인 낙엽 불어진 장목(長木) 글고 쥬어 엄여 지고 석양산로(夕陽山路) 나려올 졔, 숀님 보고 절을 니 품안에 잇 산과(山果) 글을 다 어진다. 얼널. 비 맛고 갈(渴) 숀임 슐집이 어 잇노. 져 건네 행화촌(杏花村) 숀을 들어 갈으치자. 널널. 고분 쇼를 타고 단적(短笛)을 불고 가니 유황숙(劉皇叔)이 보와시면 날을 오즉 부러리. 얼널.”
강가 다 들은 후, 졔 신세를 졔 보와도 어린 것들 한가지로 갈키나무 할 슈 잇나. 도끼[note]직지 주: 毒器 – 중국글자로 독기라고 써있다[/note] 여 들어 메고 이 봉(峰) 져 봉 다니면셔 그 중 큰 나무 한두 번식 은 후에 나무 력 말을 며, 졔가 져를 짓다.
“오동나무 벼니 순(舜)임군의 오현금(五弦琴). 살구나무 벼자 니 공부자(孔夫子)의 강단(講壇). 솔나무 죠타마 진시황(秦始皇)의 오대부(五大夫). 잣나무 죠타마 한고조(漢高祖) 더푼 그늘, 어주축수애산춘(漁舟逐水愛山春) 홍도(紅桃)나무 사랑옵고. 위성조우읍경진(渭城朝雨邑輕塵) 버들나무 죠흘씨고. 밤무 신주(神主)가음. 젼나무 돗 재목(材木). 가목 단단나 각 영문(營門) 곤장(棍杖)가음. 나무 곳곳나 짓난 못가음. 중나무, 오시목(烏枾木)과 산유자(山柚子), 용목(榕木), 검 목물방(木物房) 긴(緊) 문목(紋木) 화목(火木)되기 앗갑도다.”
이리져리 생각니 버힐 나무 젼혀 업다. 산중에 동천맥(動泉脈) 우물 죠흔 곳에 점심 굴억 풀어 노코 단단이 먹은 후에 부를 얼는 쳐셔 담 푸여 입에 물고, 숄 근을 잔듸밧에 돌을 베고 누우면셔 당음(唐音) 한 구(句) 을퍼 보와, “우래송수하(偶來松樹下)에 고침석두면(高枕石頭眠)이 날로두고 말이라, 잠자리 장이 죠타.”
말며, 고 코가 산중이 들셕들셕, 한쇼금 질근 다 낫바닥이 션듯션듯 비식이 눈 보니 하늘에 별이 총총, 이슬이 졋난구나. 게울이 일어나셔 지지게 케고, 뒷곡지 다리며 혼말노 둘언거려,
“요 가 그리 잘나 뷘 지게 지고 가면 게집연이 방졍듸.”
사면을 두너보니 둥구마쳔 가 길에 엇더 장승 나 산중에 셔 잇거늘 강가 반겨야,
“벌목정정(伐木丁丁) 안쓰고 죠흔 나무 거긔 잇다. 일모도궁(日暮途窮) 이 신세 불로이득(不勞而得) 죠흘시고.”
지게를 지고 장승 션 급피 가니 장승이 화를 여 낫에 피긔 올리고셔 눈을 블읍니 강가 호령(號令)야,
“네 이놈, 뉘 압페다 색기(色氣)야 눈망울 브릅드니. 삼남(三南) 설츅 변강를 일홈도 못 드른다. 과거(科擧), 마전(馬廛), 파시평(波市坪)과 당노름, 슬음판에 이 숌씨 람 칠 졔 선취복장(先取腹腸) 후취(後取) 덜미, 가래쥭, 열 두 권법(拳法). 범(范)강, 장달, 허(許)제라도 다 둑안에 러지니 수족(手足) 없 너만 놈이 생심(生心)이나 바울쇼냐.”
달려들어 불 안 엇둘음 슉 여 지게 우에 질머지고 유군 쇼 며 졔집으로 도라와셔 문안에 드러셔며, 호기(豪氣)를 장이 퓐다.
“집안 거긔 잇나. 장작 나무 여 왓.”
가온 턱부리고, 방문 열고 드러가니 강 게집 반겨라고 급피 나셔 숀목 잡고 엇를 주물으며,
“엇디 그리 져물엇나. 평생 쳐음 나무 가셔 오죡 를 썻것가. 시장 밥 십쇼.”
방안에 불 켜 놋코, 밥상차려 드린 후에 장작나무 구경차로 불 써 들고 나와 보니, 엇더 큰 이 가온 누어시되 조관(朝官)을 지난지 사모(紗帽) 품대(品帶) 갓쵸으고 방울눈 쥬멱코에 처슈염이 졈잔다. 여인이 놀나 뒤로 팍 쥬잔지며,
“거, 이것 웬일인가. 나무러 간다더니 장승 여 왓네그려. 남긔 암만 귀타 되 장승 여 단 말은 언문책(諺文冊) 잔주(註)에도 듯도 보도 못 말. 만일 여 여시면 목신 동증(木神動症) 조왕(竈王)동증, 목슘 보전 못 터니 어셔 급키 지고 가셔 션 자리에 도로 셰고 왼발 굴너 진언(眞言) 치고 다른 길로 도라옵쇼.”
강가 호령여,
“가사(家事) 임장(任長)이라, 가장(家長)이 일을 보기만 거시졔, 게집이 요망(妖妄) 여 그것이 웬 쇼린고. 진(晉) 충신 개자추(介子推) 면산(綿山)에 타셔 쥭고, 한(漢) 장군 기신(紀信)이 형양(滎陽)에셔 타쥭어, 이 타쥭어도 아무 탈이 업셔 나무로 근 장승 인형을 가져쓴들 여 여 관계가. 인불언귀부지(人不言鬼不知)니 요망 말 다시 말나.”
밥상을 물인 후에 도끼 들고 달여들어 장승을 쾅쾅여 군불을 만이 너코 유정(有情) 부부 훨셕 벗고 사랑가로 농창치며, 개폐문(開閉門) 전례판(傳例板)을 맛잇게 엿나.
이에 장승 목신 무죄(無罪)이 강 만나 도끼 아 각나고 부억 속에 잔되니 오족키 원통(寃通)컨나. 의지(依持) 곳이 업셔 중천(中天)에 셔 울며, 나 혼 단여셔 이놈 원수 못 갑것다. 대방(大房)전에 차져가셔 이 원정(願情) 오리라.
경기(京畿) 노강(鷺江) 선(船)창목에 대방 장승 져가셔 문안(問安)을 연후에 원정을 알외기를,
“소장(小將)은 경상도 함양군에 산로(山路) 지킨 장승으로 신지 쳘이 일 업고, 평민 침학 일 업셔, 불피풍우(不避風雨)고, 각수본직(各守本職) 옵더니 변강라 놈이 일국에 난봉으로 산중에 주접(柱接)야, 무죄 소장에게 공연이 달어들어 무수(無數) 후욕(詬辱) 연후에 여 지고 졔집 가니, 졔 게집이 작 놀나 도로 갓다 셰라 되, 이놈이 아니 듯고 도끼로 쾅쾅 여 졔 부억에 화장(火葬)니, 이놈 그져 두어셔 삼동(三冬)에 장작가음 근처 동관(同官) 다 고, 순망치한(脣亡齒寒) 남은 화가 안 밋칠 업슬 테니 십분(十分) 통촉(洞燭)옵셔셔. 소장의 설원(寃)고 후환 막게 옵소셔.”
대방이 대경(大驚)여,
“이 변(變)이 큰 변이라. 경홀작처(輕忽酌處) 못 터니 사근(肆觀) 공원(公員)님과 지지대(遲遲臺) 유사(有司)님 전갈(傳喝) 엿쥽기를 ‘요 적조(積阻)였엿니 문안일향(問安一向)옵신지. 경상도 함양 동관 발괄 원정[note]직지 주: 중국글자로 白活願情이라 썼다. 발괄은 이두식 표현이라 하며, 발괄 원정의 뜻은 관아에 대하여 억울한 사정을 글이라 말로 하소연한다는 뜻. [/note]을 듣사온즉 천만고 업던 변이 오날날 겨시니, 슈고타 마옵시고 잠간(暫間) 왕림(枉臨)옵셔서 동의작처(同意酌處)옵시다.’ 전갈고 모셔 오라.”
장승 혼령(魂靈) 급히 가셔 두 관 전갈니, 공원 유사 급히 와셔 의례 인사 연후에 함양(咸陽) 장승 발괄 내력 대방이 발론(發論)니 공원 유사 엿자오,
“우리 장승 긴 후로 처음 난 변괴(變怪)오니 삼소임(三所任)만 모와 안져 종용작처(從容酌處) 못 지라, 팔도 동관 다 청여 공론(公論) 처치 옵시다.”
대방이 죠타 고 입으로 붓을 물고, 통문(通文) 넉 장 쎡 쎠니 통문에 엿시되,
“우통유사(右通喩事) 톡기가 죽으면은 여의가 슬퍼고, 지초(芝草)에 불이 타면 난초가 탄식(歎息)기 유유상종(類類相從) 환란상구(患難相救) 이치로다. 지리산중 변강가 함양 동관 여다가 작파(斫破) 화장엿시니 만와유경 이놈 죄상 경홀작처 슈 업셔 각도 동관전에 일체(一切)로 발통(發通)니 금월 초삼일 삼경양(樣)에 노강 선창으로 일제취회(一齊聚會)야 함양 동관 조상(弔喪)고, 변강놈 쥭일 를 각출의견(各出意見)옵소셔. 년 월 일.”
밋 대방 공원 유사 별려스고, 착명(箸名)고, 여의 영문(營門) 각읍(各邑) 진장 목장 각면(各面) 각촌(各村) 점막(店幕) 사찰(寺刹) 비젼 이라.
“통문 장은 진관천 공원이 맛더 경기 삼십사관(三十四官), 충청도 오십사관, 전케 고, 장은 고양(高陽) 홍제원(弘濟阮) 동관이 맛더 황해도 이십삼관, 평안도 삼십이관 전케 고, 장은 양주(楊州) 달악원 동관이 맛더 강원도 이십육관, 함경도 이십사관, 전케 고, 장은 지지대 공원이 맛더 전라도 오십육관, 경상도 칠십일관 로 전케 라.”
귀신의 조화(造化)여든 오죡이 르것나. 바 고 구룸치 경각(頃刻)에 다 전니. 조선 지방 잇 장승 하나도 낙루(落漏) 업시 기약(期約) 밤 다 모우어 쇄남터이 게 셔셔 시흥(始興) 읍내지 구나. 장승의 졀 법이 고만 슉일 슈도 업고, 허리 굽필 슈도 업고, 으로 의논면 발 압부리를 듸듸고 뒤측만 달싹 이엇다. 일제이 졀을 고, 문안을 연후에 대방이 발론야,
“통문사의(通文辭意) 보와시면 모은 을 알 터이니 변강 지은 죄를 엇터게 다릴고?”
단천(端川) 마천령(摩天嶺) 상봉(上峰)에 셧난 장승 출반(出班)여 엿오,
“그놈의 식구로 쇄남터로 잡아다가 효수(梟首)를 옵시다.”
방이 대답되,
“귀신의 성기(性氣)라도 토풍(土風)을 라가니 마천 동관 말 상쾌(爽快) 거니와, 사단(事端) 아 앗 것이 이놈의 식구랏게 게집 아이로되, 게집은 말여시니 죄를 안니 쥴 터이오, 강라 놈도 부지불각(不知不覺) 효수면 세상이 알 슈 업셔 징일여백(懲一勵百) 못 될 터니 여러 동관임 다시 생각옵소서.”
압록강갓 섯 장승 나셔며 엿자오,
“출호이자(出乎爾者) 반호이(反乎爾)가 성인의 말이니 우리의 식구로 그놈 집을 에워싸고 불을 벗셕 지른 후에 못 나오게 였으면 그 놈도 동관이 화장이 되오리다.”
방이 대답되,
“흉녕(凶獰) 글헌 놈을 부지불각 불지르면 졔 죄를 졔 모르고 독갑의 장난인가 명화적(明火賊)의 난리러가 의심을 터이니 다시 생각여 보오.”
해남(海南) 관머리 장승이 엿자오,
“대방님 분부(分付) 절절이 맛당오. 그러 흉 놈을 쉽사리 죽여셔 설치(雪恥)가 못 될터니 고생을 실컷 식겨, 쥭 도 썩 못 쥭고, 도 살 슈 업셔 칠칠이 사십구 한달 열 아흐 밤낫으로 볶다가 험사(險死) 악사(惡死)게 면 장승 화장 죄ㄴ 쥴을 져도 알고 남도 알아 쾌이 징계(懲戒)될 터이니, 우리의 식구로 병 나식 가지고셔 강를 차져가셔 신문(囟門)에셔 발톱지 오장육부(五臟六腑) 내외 업시 집에 앙토듯, 지소방(紙所房)에 부벽듯, 각장장판 길음 결듯, 왜관 목물 칠살치 졉졉이 발나시면 그 슈가 죨듯 오.”
대방이 대희야,
“해남 동관 말 불번불요(不煩不擾) 장이 죳쇼. 그로 시행(施行)되 죠고만 강놈에 져리만 식구더리 정처업시 달여들면 만 쵹이 들고 진 틈 테니 머리에셔 두 팔지 전라, 경상, 차지고, 겨를앙셔 블기지 황해, 평안, 차지고, 항문[note]직지 주: 중국글자로 黃門으로 써있다. [/note]셔 두발(頭髮)지 강원, 함경, 차지고, 오장육부 내복(內腹)일 경기, 충청 차지야, 팔만사천 털군역 구먹도 뷘틈업시 단단이 잘 바르라.”
팔도 장승 청령(廳令)고, 산셩나온 벌치 병 씩 등에 지고, 함양 장승 압을 셔셔 강에게 여들어 각기 장 맛든 로 병도를 연후에 안가치 흐터진다.
이젹에 강놈은 장승 여 덥게 고 그날밤을 고 니 아무 탈이 업셔구나. 제 게집 두 다리를 양편으로 벌이고 오목 그 구멍을 기우시 구버보며,
“밧은 검고 안은 불고 정녕(丁寧) 부억이, 금금 것은 조왕동증(竈王動症) 정녕 낫졔.”
졔 긔물을 보이면셔,
“불불 수가 목신동증(木神動症) 정녕 낫졔. 가 살림[note]중국글자로 産任이라 썼다.[/note]리 굿고 경 일것나, 목신고 조왕고 사화(私和)를 부쳐 보.”
아젹밥 이 에여 판을 질고 장담(壯談)을 실컷 여,
“하레 이틀 수인 후에 이 근방 잇 장승 차차 여 왓시면은 올 봄을 지는 나무 걱졍 슈 업제.”
그날 져녁 일과(日課)고 참 곤케 노라니 천만 의외 왼집안이 장승이 장을 셔셔 몸 번식 건드리고 말리 업시 나가거늘 강가 놀 말잔니 안 나오고 눈자니 부터셔 만신을 결박(結縛)고 각색(各色)으로 쓔시난듸, 졔 쇼견도 살 슈 업셔 날이 점점 발가가, 강 게집 잠을 니 강의 된 형용(形容)이 정녕 송장인, 신음(呻吟)여 알 소 슘은 아니 쳐구나. 작 놀나 옷을 입고 미음(米飮)을 급히 고와 소금 타셔 너으며 왼몸을 만보니, 이를 아득 물고 미음 들어갈 슈 업고, 낭자(狼藉) 부을 엄이 언의 놈창여 피고름 독 가 코 두를 슈가 업다.
병일홈을 짓 니 만가지가 넘나. 풍두통(頭痛), 편두통(偏頭痛), 담(痰)걸통 겸고 쌍달앗, 셕셔기 청맹(靑盲)을 겸고, 이롱증(耳聾症) 이병(耳病)에 귀졋을 겸고, 비창(鼻瘡), 비색(鼻塞)에 주독(酒毒)을 겸고, 면종(面腫), 협종(頰腫)에 순종(脣腫) 겸고, 풍치(風齒), 충치(忠8齒)에 구와증(口와症)을 겸고, 흑, 백에 설축증(舌縮症)을 겸고, 후비창(喉비瘡), 천비창에 쌍단아(雙單蛾)를 겸고, 낙함증(落頷症), 항강의 발저(髮疽)를 겸고, 연주(聯珠) 나력(瘰9癧)에 상감을 겸고, 견비통(肩臂痛), 옹졀에 수전증(手戰症)을 겸고, 협통(脇痛), 요통(腰痛)에 등창을 겸고, 흉결(胸結), 복창(腹脹)에 부종(浮腫)을 겸고, 임질(淋疾), 산증(山症)에 토불을 겸고, 둔종(臀腫), 치질(痔疾)에 탈황증(脫黃症)을 겸고, 갈앗돗, 학질10에 수종(水腫)을 겸고, 발당 독종(毒腫)에 틔눈을 겸고, 주로(酒餒) 색로(色餒)에 담로(痰餒)를 겸고, 육체(肉滯), 주체(酒滯)에 식체(食滯)를 겸고, 황달(黃疸), 흑달(黑疸)에 고창(鼓脹)을 겸고, 적리(赤痢), 백리(白痢)에 후(後)죵을 겸고, 각궁반장(角弓反張)에 괴질(怪疾)을 겸고, 치염, 쇼에 헐덕증을 겸고, 섬어(譫語), 빈 입에 헛손질을 겸고, 젼근 곽란(藿亂)에 토사(吐瀉)를 겸고, 일학(日瘧), 양학(兩瘧)에 며루리심을 겸고, 드리치락 치락 사증(邪症)을 겸고, 단독(丹毒), 양독에 온역(瘟疫)을 겸고, 감창(疳瘡), 당창(唐瘡)에 용(龍)쳔을 겸고, 경충, 복양에 분돈증을 겸고, 내종(內腫), 간옹(肝癰)에 주마담(痰)을 겸고, 염병(染病), 시병(時病)에 열광증(熱狂症)을 겸고, 울화(鬱11火), 허화(虛火)에 물죠갈을 겸여 사지가 불인(不仁)고 만신(万身)이 자통(自痛)야 굽도 잣도 달 다시 두 슈 업시 마계틀 모양으로 고 누어시니, 여인이 을 여 병도 하 무셔우니 문복(問卜)이나 여 보자.
경쵀 냥 품에 넛코, 건넌 마을 송(宋)봉 집 급급이 져가셔,
“봉님 계시오.”
봉의 대답이란 게 근본 원수(怨讐)진 듯기 법이였다.
“게 누구락게.”
“강 지염이오.”
“엇디.”
“그 건장(健壯)든 지아비가 밤이 어든 병이 곳 쥭게 오여시니 점(占) 장(張) 야 주오.”
“어허, 말 안 되엿네. 방으로 들어오쇼.”
세수12를 급히 고, 의관(衣冠)을 정제(整齊) 후에 단정(端正)이 어 안져, 대모산통(玳瑁算筒) 흔들면서 축사(祝辭)를 외구나.
“천하언재(天下言哉)시며 지하언재(地何言哉)시리오마 고지즉응(叩之卽應)니 부대인자(夫大人者) 여천지합기덕(與天地合其德)며 여일월합기명(與日月合其明)며 여사시합기서(與四時合其序)며 여귀신합기길흉(與鬼神合其吉凶)시니, 신기영의(神其靈矣)라, 감이수통언(感而遂通焉)셔서. 금우태세(今又太歲) 을유이월(乙酉二月) 갑자삭(甲子朔) 초육일(初六日) 기사(己巳) 경상우도(慶尙右道) 함양군 지리산중거여인(智里山中居女人) 옹씨 근복문(謹伏問). 가부(家夫) 임술생신(壬戌生身) 변강가 우연 득병(得病)여 사생(死生)을 판단(判斷)니 복걸(伏乞) 점신(占神)은 물비(勿秘) 괘효(卦爻) 신명(神明) 소시(昭示), 신명 소시. 나 둘 셋 넷.”
산통 누가 셔 가지 쥬며니에 불판나게 넛코 글 귀 지어씨되,
“사목비목(似木非木) 사인비인(似人非人)이라, 나무라 가 이라 가. 어허, 그것 괴이(怪異)다.”
강 안 이론 말리,
“엇그졔 남정네가 장승을 더니 장승 동증(動症)인가 뵈다.”
“그러면 그러쳬, 목신이 난동(亂動)고 주작(朱雀)이 발동(發動)여 살기 불가망(不可望)이나 원이나 업시 독경(讀經)이나 여 보쇼.”
강 안 이 말 듯고,
“봉님이 오소셔.”
“가졔.”
져 게집 거동보쇼. 걸음에 급히 와셔 사면에 황토(黃土) 노코, 목욕며 재계(齋戒)고 의복 여 입고, 살망과 실과(果) 채소(菜蔬) 라 노코 안졌시니 송봉 건너온다. 문 압페 와 웃둑 셔며,
“엇디 다 려난가.”
“예, 다 차려 노와쇼.”
“그러면 경 읽제.”
나 북 드려 노코 가사목(木) 북방망이 들고, 요령(撓鈴)은 숀에 들고, 퉁퉁 울이면서 조왕경(竈王經), 성조경(成造經)을 의례(依例)이 읽은 후에 동증경(動症經)을 익구나.
“나무동방(南無東方) 목귀살신(木鬼殺神), 남무남방(南無南方) 목귀살신, 남무서방(南無西方) 목귀살신, 남무북방(南無北方) 목귀살신.”
삼칠편(三七篇)을 얼풋 일고, 왼편 발 턱 구르며,
“엄엄급급(奄奄急急) 여율령(如律令) 사파하(娑婆하) 쒜.”
경을 다 읽근 후에,
“, 경채(經債)를 엇디 려나.”
져 기집 이론 말리,
“경채나 서울빗이나 여긔 있쇼.”
돈 냥 여 주니,
“가 돈 달나듸. 거 곰 것 인난가.”
“어, 아시시오. 졈 터에 그게 무슨 말이오.”
송봉 무류야 안 속에 소 나가듯 니 강 안 생각되,
‘의원이나 쳥다가 침약(針藥)이나 여 보자.’
함양(咸陽) 바지 명의(名醫)란 말을 듯고 차져가셔 사졍니 이진사(李進士) 허락고 몸쇼 와셔 진맥(診脈) 졔, 좌수맥(左手脈)을 지퍼본다. 신방광맥(脈) 침지(沈遲)니 장졍박 것이오, 간담맥이 침실(沈失)니 졀늑통헙 것이오, 심쇼맥이 부삭(浮數)니 풍열두통(風熱頭痛) 것이오, 명문삼초맥(命門三焦脈)이 일억케 침미니 산통탁진 것이오, 비위맥(脾胃脈)이 참심니 기(氣)촉복통(腹痛) 것이오, 페장맥이 부현니 쇼 결 것이오, 긔구인영맥이 관외격야 일호륙지고 십괴가 범엿스니 암만도 죽을 터나 약이나 써보게 건재(乾材)로 사오너라. 인삼(人蔘), 녹용(鹿茸), 우황(牛黃), 주사(朱砂), 관계(官桂), 부, 곽향(藿香), 츅, 적복령(赤茯笭), 백복령(白茯伶), 적작약(赤芍藥), 백작약(白芍藥), 강활(羌活), 독활(獨13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당귀(唐歸), 황기(黃芰), 백지(白芷), 창출(倉朮), 백출(白朮), 삼릉(三稜), 봉츌, 형개(荊芥), 防風(방풍), 소엽(蘇葉), 박하(薄荷), 진피(陳皮), 청피(靑皮), 반하(半夏), 후박(厚朴), 용(龍)뇌, 사향(射香), 별갑(鱉甲), 구판(龜板), 대황(大黃), 망초(芒硝), 산약(山藥), 택사(澤瀉), 건강(乾薑), 감초(甘草), 탕약(湯藥)으로 써셔보자.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구룡군자탕(구龍君子湯), 상평위산(平胃散), 황기건중탕(黃芰建中湯), 일(一)쳥음(飮), 이진탕(二陳湯), 삼(三)탕(湯), 사물탕(四物湯), 오령산(五靈散), 육미탕(六味湯), 칠(七)긔탕(湯), 팔물탕(八物湯),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蕩). 암만써도 효험(效驗)업셔 환약(丸藥)을 써셔 보.
소합환(蘇合丸), 청심환(淸心丸), 천을환(天乙丸), 포룡환(抱龍丸), 사쳥환, 비급환(丸), 광게환(丸), 백발환(百發丸), 고암심신환(心神丸), 가미지황환(加味地黃丸), 경옥고(膏), 신션고(膏)가 아무것도 효험업다. 단방약(單方藥)을 야 볼가.
지룡(地龍)이집, 굼벙이집, 굴렁탕, 섬사주(蟾蛇酒)며 무가산, 황금탕(黃金湯)과 오죰기, 월경수(月經水)며 강아지, 거마리, 황우리, 몃기, 가치, 옷밤이를 다 써보와 효험없다. 침이나 슈어보자.
순금장식(純金粧飾) 대모침통 졀넝졀넝 흔들어셔 삼(三)능을 여들고 차차 혈맥(穴脈) 집퍼줄 졔, 회 집퍼 통쳔 쥬고, 뇌공 집퍼 풍지 주고, 단즁 집퍼 신궐 주고, 긔 집퍼 쥬고, 져 집퍼 명문 주고, 장강 집퍼 간유 쥬고, 담유 집퍼 쇼쟝유 쥬고, 방광유 집퍼 곡지 주고, 슈이 집퍼 양곡 쥬고, 완골 집퍼 관 쥬고, 능 집퍼 소 쥬고, 횐죠 집퍼 양능쳔 쥬고, 현죵 집퍼 우즁 쥬고, 송 집퍼 골윤 쥬고, 신 집퍼 삼음교 쥬고, 공손 집퍼 츅빈 쥬고, 조 집퍼 용천 쥬어, 만신을 다 쓔시니, 병에 골코 약에 골코 침에 골아 쥭을 밧게 슈가 없다. 이진사 말리,
“약은 백 가지오, 병은 만 가지니 말질(末疾)이라 불치오다.”
하직고 가구나.
의원이 간 연후에 침약의 힘일넌지 목신(木神)의 조화던지 강가 말을 야 여인 옥수(玉手) 덤벅 잡고 낙루(落淚)며 말리,
“ 양서 , 몸은 삼남 . 늘이 지시고 귀신이 즁여 오다가다 진 연분(緣分) 죽자 깁푼 맹세, 단산(丹山)에 봉황(鳳凰)이오 녹수(綠水)에 원앙(元鴦)이라. 잠시(暫時)도 이별 말고 백년해로(百年偕老)더니 일야간에 어든 병이 백 가지 약 효험 업셔, 청춘소년 이 몸이 황천원로(黃天遠路) 갈 터이니 생기사귀(生寄死歸) 성인 말 나 셜지 안커니와, 생이사별(生離死別) 자 정경(情景) 아 엇지 보자가. 비이 붓든 정이 구름갓치 흣터지면 눈치 녹 간장 안갓치 이 수심(愁心). 도리화(桃李花) 퓌 봄과 오동입 지 가을 두견(杜鵑)이 셜이 울고 길억이 노피 날 졔, 독수공방(?宿空房) 져 신세가 잔상이 불상다. 정경(情景) 가긍(可矜)니 아무리 되 병세 지독(至毒)여 긔여이 쥭을 터니 이몸이 쥭거들낭 염습(斂襲)긔, 입관(入棺)기 가 손죠 고, 출상(出喪) 졔 상여(喪輿) 배행(陪行), 시묘(侍墓) 살아 조석 상식(上食), 삼년상을 지 후에 비단 수건(手巾) 목을 잘나 져승으로 오면 이생에 미진(未盡) 연분 단현부속(斷絃復續) 되려니와, 가 지금 쥭은 후에 나라 명색(名色)고 십세전 아해(兒孩)라도 몸에 손거 집 근처에 얼는 면 즉각 급살(急殺) 것이니 부부 그리쇼.”
속옷 아구에 손질을 풀슐 너어 여인의 보지 쥐고 으드득 힘 쥬더니 불 일어 웃둑셔며 건장 두다리 유엽전(柳葉箭)을 쏘랴지 비졍비팔 빗드듸고, 바위 튼 두 쥬먹은 십왕전(十王前)에 문직(門直)인지 눈우에 놉픠 들고, 경 이 튼 눈은 홍문연(鴻門宴) 번쾌(樊?) 널지 어 지게 불읍고, 상토 풀어 산발(散髮)고, 셔 여 길게 물고, 집동치 부은 몸의 피고름이 낭자고, 주장군(朱將軍)은 그져 , 목궁긔에 슘쇼 , 코궁긔에 찬바 왜 생문방(生門方) 안(安)을 고 장승 쥭엄 엿나.
여인이 겁이 나셔 울 각도 업졔마 져 놈 성기(性氣) 짐작고 임종(臨終) 유언(遺言) 잇셔시니 전례곡(傳例哭)은 테어든 비녀 여 낭 풀고, 쥬먹 쥬여 방을 치며,
“애고애고(哀苦哀苦) 셜운지고, 애고애고 엇지 살. 어보쇼 변서방아, 날 바리고 어 가나. 나도 가 나도 가. 임을 나도 가. 쳥셕관 맛 젹에 백년해로자더니 황천객 가니 일장춘몽(一場春夢) 허망다. 적막산중(寂寞山中) 텅 뷘 집에 강근지친(近之親) 고사고 동네 업셔시니 낭군 치상(致喪) 엇지 고 이 신세 엇지 살고. 웬년의 팔자로셔 상부복(喪夫福)을 그리 타셔 송장 만이 보와시되 보든 중에 쳐금이네. 애고애고 셜운 지고. 날를 만일 못 이져셔 눈을 감지 못터면 날 잡어가 날 잡어가. 애고애고 셜운지고.”
한 통곡 연후에 사자(使者)밥 지어 놋코, 옷짓 잡어 초혼(招魂)고 혼말노 자탄(自嘆)여,
“무인지경(無人之境) 이 산중에 나 혼자 울어셔 낭군 치상 수 업셔 시충출호(尸虫出戶)될 터이니 대로변에 안져 울어 오입(誤入)남자 맛나시면 치상을 듯니 그 슈가 올타.”
고, 상부(喪夫)에 이력 엿셔 소복(素腹)은 만것다. 생서양포(生西洋布) 깃젹오, 종성(鍾城) 이 생뵈 치마, 외씨 튼 고흔 발시 승보션 엄신 신고 구름치 푸른 머리 헌트러지게 집어 언고 도화색(桃花色) 두 가에 눈물 흔적 더 에쁘다.
아장아장 고이 결어 대로변을 건너가셔 유록도홍(柳綠桃紅) 시가에 뵐 말 펄셕 안져 본래 서관(西關) 여인이라 목소 죠타쇼니 실어져가득기 도를 듸 이것이 묵은 서방 생각이 아니라, 서방 후리 목이니 오죡 맛이 잇것냐. 사설(詞說)은 망부사(望夫詞) 비졋게 염장(斂章)은 연(連)에 애고 애고로 막것다.
“애고애고 셜운지고, 이 신세 가긍다. 일신이 고단(孤單)키로 이십이 발읏 넘어 삼남을 차져오니 사고무친(四顧無親) 객지(客地)로다. 오행 궁합 죳타기에 육례(六禮) 업시 어든 낭군 칠차(七次) 상부(喪夫) 당니 팔자 그리 험굿던가. 구곡간장(九曲肝腸) 이 원통을 십왕전(十王前)에 왈외고져. 애고애고 셜운지고. 여심상비(余心傷悲) 남물(覽物)흥사 보 것이 셜움이라. 류상(柳上)에 우 황조(黃鳥) 벗을 오라 다마 황천(黃泉) 가신 우리 낭군 네 어이 불너오며, 화간(花間)에 우 두견 불여귀(不如歸)라 다마 가장치상(家長治喪) 못 가 어로 가자나냐. 동원도리편시춘(東園桃李片時春)에 신세를 엇지며, 춘초년년(春草年年) 푸르 낭군 어이 귀불귀(歸不歸)오. 애고애고 셔룬지고. 염나국이 어 엿셔 우리 낭군 가 겨신고. 북해상(北海上)에 잇시면은 안족서(雁足書)나 부칠테오. 농산(隴山)이 가우면 앵무소식(鸚鵡消息) 올련마 주야(晝夜) 동포(同抱)든 정리(情理) 영(永) 이별(離別)이 되단 말가. 애고애고 셜운지고.”
애원 목쇼가 화쥬성(城)이 문어질 듯 시물리 목친다.
잇 에 화림(花林) 쇽으로 산나부 나이 날아 오난듸 오 덤벙여 불근 칠(漆) 실양갓싀 쥬황 나뷔 슈염, 은(銀)귀영자 공단을 두 귀에 더퍼고 총감토 소년당상(少年堂上) 외 튼 금관자(金貫子)를 양편에 부치고, 서양포(西洋布) 누비 상하 통치 입고, 한산세저(韓山細苧) 익물 장삼(長衫), 진홍(眞紅) 분합 눌너 고, 흔 총 빅이 사 초혜(草鞋) 고은 임 보션목을 행전(行纏) 우에 더퍼 신고, 천은(天銀) 이 화류승도(花柳僧刀) 것고름에 늣게 차고, 오십시(五十矢) 진상칠선(進上漆扇) 길음 결어 손에 쥐고, 동구(洞口) 색주가(色酒家)에 곡차(曲茶)를 반취(半醉)야 용두(龍頭) 삭인 육환장(六環杖)을 이리로 쳘쳘 져리로 쳘쳘, 청산 석경(石逕) 구뷔길로 흐늘거려 나려오다 우름 쇼 잠간 듯고 사면을 둘너보며 무한이 쥬져터니 여인을 얼넌 보고 가만가만 드러가니 치 잇 저 여인이 즁 오난 쥴 몬져 알고, 왼갓 태(態)를 다 부린다. 옥안(玉顔)을 번듯 들어 먼산도 바라보고, 초마락 돌여다가 눈물도 시셔 보고, 옥수(玉手)를 잠간 들어 턱도 밧터 보고, 셜움을 못 익이여 머리도 더보고, 가도록 셜 운다.
“신세를 생각면 해당화(海棠花) 져 가지에 결항치사(結項致死) 테로 설부화용(雪膚花容) 이 태도 아즉 청춘 멀어시니 적막공산(寂寞空山) 무주고혼(無主孤魂) 그 아니 원통가. 광대 천지간에 풍류호사(風流豪士) 의기남자 응당 만이 잇건는 속에 먹은 마음 게 뉘라 알 슈 있나. 애고애고 셜운지고.”
즁놈이 그 얼골 태도를 보고, 정신을 반이나 노왓더니 이 우 말을 들으니 죽을 밧게 슈 엄구나. 다 다 못 견듸여 졔가 독을 스며 죽자고 쑥 나셔며,
“소승(小僧) 문안(問安)드리오.”
여인이 긋 보고 못 드른 체 연(連)에 울어,
“오동에 봉(鳳) 업스니 오작이 지져귀고, 녹수에 원(鴛) 업스니 오리가 날아든다. 애고애고 셜운지고.”
즁놈이 이 말을 드르니 져를 업시 역이 말리어든 생사를 불원고 밧작밧작 달여들며,
“소승 문안이오, 소승 문안이오.”
여인이 울음을 근치고 졈잔이 지져,
“즁이라 것이 부처님의 제자이니 계행(戒行)이 달을 턴듸 적막산중(寂寞山中) 슘풀 속에 전후불견(前後不見) 여인에게 체모(體模) 업시 달여드니 벌으시 괫심다. 문안은 그만고 갈 길이나 어서 가졔.”
져 즁이 대답되,
“부체님의 제자기로 자비심이 만더니, 시주(施主)님 져 청춘에 애원이 우 쇼 져려 못 갈 터니, 우 내력 아사이다.”
여인이 대답되,
“단(單) 부처 산중 살아 강근지친 업삽더니 신수가 불행야 가군(家君) 초상(初喪) 만난 송장조 험악야 치상 슈 업기로 어기 와셔 우 은 담기(膽氣) 잇 남자 만 가군 치상(治喪) 연후에, 청춘수절(靑春守節) 슈 업셔 그 과 부부되여 백년해로 니 대사의 말로 자비심이 잇삽거든 근처로 단이시며 혈기남자(血氣男子) 맛나거든 지시(指示)야 보시오.”
져 즁이 무러,
“우리 졀 중 중(中)에도 자원(自願) 리 잇스며은 가라쳐 보릿가.”
“치상만 거드면 그 과 터이니 승속(僧俗)을 가릴테오.”
져 즁이 대희(大喜)야,
“그리면 쉰 일잇쇼. 그 송장 치고 과 살아 엇더 오.”
“앗가 다 말이니 다시 물어 쓸 잇쇼.”
져 즁이 죠와라고 양갓 감토 버셔 고, 공단 갓근 금관(金貫) 쥬먼이에 여너코, 장삼(長衫) 버셔 로 묵거 엇에 들어 메고, 여인은 압플 셔고 대사 뒤에 셔셔 강집을 차져 올 졔, 즁놈이 죠와라고 작난(作亂)이 비상(非常)다. 여인의 등미에 손도 씩 너어보고, 졋도 불근 주여 보고, 허리 질근 안아보고, 손목 아보며,
“암만도 못 네. 우션 번 고 가.”
여인이 책망(責望)야,
“밧비 먹으면 목이 메고, 급피 더우면 쉬 식나니 여러 쥬린 색심(色心) 아모리 그러나, 쥭은 가장 방에 두고 낭군 그 놀릇시 인사(人事) 되것낫가. 다 도여 가 일을 마음 죡금 진졍쇼.”
즁놈이 대답되,
“일인즉 그러.”
슈박 튼 가리를 웃웃 흔들면셔,
“십년 공부 아마타불, 참 부쳐 될 슈 업셔 삼생가약(三生佳約) 우리 미인, 가부처(夫妻)나 도여 보.”
강 문전 당도야,
“시체 방이 어잇노.”
여인이 가치며,
“져 방에 있쇼마 시체가 근 셔셔 형용이 험악(險惡)니 단단이 마암 먹어 놀질 말게 오.”
이 놈이 여인에게 협기(俠氣)를 뵈노라고 장담(張談)을 벗셕 야,
“우리 겁(怯)이 업셔 칠야삼경(漆夜三更) 집퍼 가며 구진비 흣릴 졔, 적적(寂寂) 천왕각(天王閣) 혼자 자 이라 그처럼 셧 숑장 죠곰도 염려(念慮) 업제.”
속으로 진언(嗔言)치며 방문 열고 드러서셔 송장을 얼는 보고 고를 퍽 슉이며 즁의 버릇노라고 두 손을 합장(合掌)고 문안(問安) 쥭엄로 요만고 열반졔.
강 여편네가 장포(布), 백지(白紙) 등물(等物) 수습(收拾)야 가지고셔 뒤죠 들어가니, 허망 져 즁놈이 발셔 이 도겨구나. 놀나 발 굴으며,
“겨, 이것 웬일인가. 송장 나 치랴다가 송장 나 겼.”
방문을 다치고셔 가온 홀노 안져 숑장에게 졍셜며 자탄 신세 우구나.
“여보쇼, 변서방아, 엇지 그리 무정가. 쳥셕관에 만 후에 각 포구로 단이면셔 간신(艱辛)이 모운 전량(錢兩) 잡기로 다 업셰고 산중사리 니, 장승 어이 여 여 목신동증(木神動症) 소년 쥭엄 모도 자네 자취(自取)로. 사십구일 구병(救病) 졔, 간장이 다 녹앗네. 험악 져 신체를 슈 업셔 대로변 가 즁을 간신이 훌여니 허신(許身)도 일 업시 강를 노라고 송장 치러 간 을 져 쥭엄 식여스니 이 소문 나거드면 송장 칠 놈 잇것가. 송장만 쳐 후에 의 유언로 수절(守節)을 터이니 다시 강쇼. 애고애고 신세야. 이 치상을 뉘가 고.”
근이 운로라니 천만의외 솔밋 친구 나 달여드러,
“예, 도라 왓쇼. 구름 튼 집에 신션 튼 나그 왓쇼. 테, 옥 튼 입에 구슬 튼 말리 쓕쓕 나오. 테, 이 야 짓지 마라. 낫은 웨 안 씨셔 눈이 , 날을 보고 짓니 네 아비를 보고 지셔라, 테.”
이런 야단 업구나.
여인이 살펴보니 구슬상모, 담벙거지, 되게 면 통장고의 젹 업 누비젹오리, 무든 불근 젼 졔 맛으로 엇게 고, 죠장단 쥬먼이의 주황사 벌답, 초록 낭릉(綾) 지 고, 쳥 승 허리에 보션를 길게 여 오메장 집신에 푸렁 헝겁 들메이고 오십시(五十矢) 느러진 붓, 송화색(松花色) 수건 아 덜미에 엇게 고, 압뒤지 민 놈 압살 업 헌 망건에 자관자 굴게 갈 당쥴의 지눌너 스고, 굴근 무명 벌통 한삼(汗衫) 무릅 아 쳑 쳐지고, 몸집은 집동 고, 통은 물항 고, 도리도리 두 눈구멍 힌 고리테 두르고, 남 코마루에 주석(朱錫) 갈 총총 박고, 곳곳 센 슈염이 양편으로 펄넝펄넝, 반백(班14白)이 넘은 놈이 목소 된 것이 비지을 베쓰이며, 헛츔 벗셕 밧트면셔,
“예, 오노라 가노라 노라니 우리 집 마노가 아지만임 젼에 문안 아홉 장이, 평안(平安) 아홉 장이, 이구십팔 열 여들 장이 낫낫치 전(傳)라 옵듸다. 당동당, 페.”
여인이 기가 막15켜 초란이를 나무라여,
“아무리 초란인들 엇지 그리 경망고. 가군의 상사 맛나 치상도 못 집에 장고쇼 부당(不當).”
“예, 초상이 낫오면 중복(重服)막이 오귀(惡鬼)물임 잡귀(雜鬼) 잡신(雜神)을 숌씨로 소멸(消滅)자. 페, 당동당. 정월 이월 드 액(厄)은 삼월 삼일 막아고, 사월 오월 드 액은 유월 유두(流頭) 막아고, 칠월 팔월 드 액은 구월 구일 막아고, 시월 동지(冬至) 드 액은 납월(臘月) 납일(臘日) 막고, 매월 매일 드 액은 초라니 장고로 막. 페, 동. 통영칠(統營漆) 도리판에 이나 도여 노코 명실과 명전(錢)이며, 귀가지 젹오리을 앗기지 마옵시고 어셔어셔 어노오.”
“여보시오. 이 초라니, 가가문전(家家門前) 드러가면 오라 어 있쇼.”
“뒤지 질으면셔 핀잔 악담 거슬 노 알고 당기오니 난장 처도 못가것쇼. 박살(撲殺)도 못 가것쇼.”
억지를 막우 스니 여인이 대답되,
“중복(重複)막이 오귀물임 호강의 말이로. 셔셔 쥭은 송장이라 쳐 일 업셔 시각(時刻)이 민망(悶忙).”
초랑니가 죠아라고 장고를 드리며 방졍을 구나.
“사망이다, 사망이다. 발리가 사망이다. 불이였다 불이였다. 죠흔 바 불이였다. 페, 둥동당. 재수(才數) 잇, 재수 잇. 힌 고리눈 재수 잇. 복이 잇 복이 잇. 주석(朱錫)코가 복이 잇. 페, 둥동당. 어졔 젼역 죠키에 이상이 아라더니 이 댁 문전 차져와셔 숑장 사망 터져나. 페, 당동당. 신사년(辛巳年) 괴질(怪疾)통에 험악게 죽은 송장 숀으로 다 쳤시니, 그 튼 션 송장은 외손의 아이니 을 몬져 결단오. 페, 당동당.”
여인이 게우른 강에게 간장이 다 녹다가 이 숀의 거동(擧動)보니 보지란키 우이 업셔 짐 틔 안져셔도 정영(丁寧) 아니 굼구나. 긍이 대답,
“가 형세에 돈 업고 곡식 업셔, 치상을 연후에 부부되여 살 이오.”
초라니가 덩병여,
“얼시구나 멋잇구나, 졀씨고나 조흘씨고. 페, 동 . 맛속 잇 오입장이 일색미인(一色美人) 맛구나. 시체 방문 어셔 여오, 솜시로 쳐셔 게. 페, 당동당.”
여인이 방문 여니 초란이 거동 보쇼. 시방(尸房) 문전 당도터니, 몸 단쇽 오 여 장고 졸나메고, 숀에 힘을 쥬어 험악 져 송장을 제 고사(告辭)로 뉘이기로 보지라니 셔두듸,
“여보쇼 져 송장아. 이 고사 드러 보쇼. 페, 당 동 당. 오행 정기 긴 노소간에 죽어지면 혼령은 귀신되고, 신체 송장이. 무슨 원통 속에 잇셔 혼령은 안 헤치고, 송장은 셧노. 페, 당동당. 이 고사 드러 보면 자네 원통 다 풀이리. 사라슬 제 이이오, 죽어지면 져이라. 만사부운(万事浮雲) 도여시니 처자 엇지 라갈가. 훼파은슈 셰 보니 옛 의 탄식이. 페, 당동당.”
보드랍든 장고가 뒤맛치만 쇼여,
“ .”
풀입 튼 된 목이 고뷔 넝길 슈가 업고, 날게 노던 몸집 삼동에 뒤틀이고, 한출첨배(汗出沾背) 갓분 슘이 엇츔에 턱을 여, 다리 오곰 쥭여 턱밋에 장고 언, 망죵 쓰 마듸 목 음업시 구셩이라. 뒷맛치 치며 고사 죽엄 도라가니, 여인이 작 놀나 손바닥을 치며,
“ 죽엇, 죽엇. 방졍마진은 겨 초라니 발업시 덤벙이다 허망이도 도라간다. 고단(孤單) 몸이 셰 송장을 엇지 고.”
담부를 푸여 물고 먼 보고 안져더니 목 밋쳐 파장(破場)인가 어롱 풍년 시평인가. 오색(五色)발가리 친구덜이 짓어 드러온다. 풍각장이 가 오듸, 그 중에 압션 가객(歌客) 다 러진 통양(統樣)갓에 버레줄 여 쓰고, 소 업 뵈즁츄막 권생원(權生員) 더더 입고, 세목(細木) 동옷 무든 놈 모동지(毛同知)게 어더 입고, 안만 남은 뉘비젹고리 신선달(申先達) 어더 입고, 다 러진 젼등거리 송선달(宋先達) 어더 입고 부를 부치되, 뒤에 놈만 시연게 부치면서 들어와셔 말버슴 씨 경(京) 원터도 못다 가고, 금강(錦江) 이 경(京)엿다.
“야보시오. 이 마오 송장이 접사(接死)야 쳐 업다 니, 수단에 쳐 이면 나고 두리 살였쇼.”
여인이 대답되,
“무슨 죠 진이셨쇼?”
여인이 무러,
“송선달 아르시오?”
“예, 그게 제자요.”
“신선달 아르시오?”
“에, 둘 제자지오.”
“세상 말리 목단(牧丹)은 화중왕(花中王), 송선달은 가중왕(歌中王), 다시 웃슈 업다듸 그 들 선생되면 당신의 목죠 가중(歌中)에 천자(天子)ㄴ 가 보.”
“남들이 그러타고 슈군슈군 답다.”
그 뒤에 동소(洞簫)장이, 얼근 젼벽쇼경 동소(洞簫)ㅅ 숀에 고, 강경장(江景場) 넉마 큰 옷 게 풀을 멱여 초록 실 눌너 고, 지평 막 은 아희 열앗 살 건진 된 놈 굴근 무명 옷고의 질목 신고, 모시젼, 홍일광단(紅日光緞) 도리쥼치, 갈 창옷, 송화색(松花色) 동졍, 쇠털 튼 노랑머리 밀기름칠 이마 여 공단 기 벗게 코 검무(劒舞) 츌 칼 가져시며, 악고 타 마른 중(中)늘근이 피골(皮骨)이 상련(相連) , 토질(土疾) 먹은 기침 쇼 광 치 쇼 고, 진 손틉 검은 와 빈코 코거웃이 입슈알 모도 덥고, 메모자(帽子) 갓에 악고를 머여시되, 경상도 경주(慶州) 도읍(都邑) 그 시절에 난 거이라 복판(腹板)이 좀이 먹고 도막 열 두 쥴을 망건(網巾) 당줄 이어 고 나무 괘를 고여 주석(朱錫) 고리 을 달아 왼억에 들어메고 북 치 몸 시 보쇼. 엄질억이 총각놈이 이드름과 길음이 용쳔박이 초 본 듯 잘른 머리 길게 코, 외손질노 늘근 놈이 체박퀴 열 두 도막 도막도막 쥬셔 이어, 노구(老狗)록피(皮) 북을 여 소약 젹여 을 달아, 양억에 들어메고, 거들거려 들어오며 장담(壯談)들을 셔로 다.
“송장이 어 잇쇼. 그 갓튼 것 쳐기 누기 발허리나 시졔.”
여인이 일온 말이,
“그러케 장담다 실업시 쥭은 몃치된 쥴 모로것쇼.”
져 들 대답되,
“그 염려 마르시오. 노 곡조 읍귀신(泣鬼神) 테오, 악고 의론면 진국(秦國) 미인(美人) 허청금(許聽琴)에 연장사(燕壯士)도 잡아스며, 왕소군(王昭君) 출새곡(出塞曲)은 호인(胡人)도 낙루(落淚)고, 옹문금(雍門琴) 슬푼 쇼 맹상군(孟嘗君)도 울어시니, 상심곡(傷心曲)을 처량(凄凉)이 타거드면 맛잇 져 숑장이 날 괄셰 슈 업졔.”
동소(洞簫)장이 말이,
“ 동소(洞蕭) 부 법은 여읍여소(如泣如訴) 슬픈 쇼 계명산(鷄鳴山) 추야월(秋夜月)에 장자방(張子房)의 곡조로다. 팔천 제자 흐터질 졔 우미인(虞美人)은 목 르고, 항장사(項壯士)도 울어거든 졔진 송장이야 동지셧달 불강아지.”
북치 놈 다르며,
“이 솜씨 북을 치면 전단(田單)이 되놈 칠 제, 시석지소(矢石之所) 웃 셔셔 원포고지(援포鼓之)여 쇼 장익덕(張益德) 고성현(古城縣)에 용맹 보 삼통고(三通鼓) 치든 쇼, 제 아무리 험 송장 아니 쓰러질 슈 잇나.”
검무 추난 아희놈이 양숀에 칼16을 들고 연풍 좌우 사위 번듯 번듯 드러메메고,
“여보시오, 기탄(忌憚) 마오. 소년 십오(十五) 이십시(二十時)에 일검증당백만사(一劍曾當百萬師)라 홍문연(鴻門宴) 모임에 항장(項莊)의 날칼16 이 당 슈가 업고 양소유(陽少游) 진즁에 심요연의 추더 츔이 게 비치 못 터니 송장 치긔 두말 잇나. 송장 방이 어 잇쇼.”
각기 재조 랑니, 여인이 생각 즉 식구가 여러시요, 재주가 져만니 송장 셔넛 쳐기 염려가 업든,
“여보시오, 저 손님, 숑장 몬저 보와셔 아마 긔가 막킬 터니 시체 방문 다든 로 퇴말우 느러 아져 각색풍류 였으면, 맛이 송장이니 감동여 눕거드면 묵거 기 쉴 텨이니 그리여 엇더오.”
“그 말이 장히 좃쇼.”
굿 집에 고인 으로 마류에 느러안 검무장이 일어셔셔 여민락(與民樂) 신방곡을 자미(滋味)잇게 노니, 방에서 찬이 실르르 일어나며 쌍창문이 졀노 열여 왼몸이 읏슥며 독 가 코지르니, 눈 식구덜은 송장을 몬져 보고 졔 맛으로 다 쥭다. 가객의 거동 보쇼. 초한가(楚漢歌)를 제,
“일후(日後) 영웅 장사덜아, 초한 승부 드러보쇼. 절인지력(絶人之力) 부지업고, 순민심(順民心)이 읏일네. 한(漢) 패공(沛公) 십만대병(十萬大兵) 구리산하(九里山下) 십사면(十四面)에 대진(大陣)을 둘너치고, 초백왕(礎伯王)을 잡르랄 졔 거리거리 마병(馬兵)이오, 마로마로 복병(伏兵)이라.”
부를 펄치며 슘이 각.
악고 노던 타령을 타노라고,
“황성(荒城)에 허조벽산월(虛照碧山月)이오, 고목(古木)은 진입창오운(盡入倉梧雲)이라 던 이태백(李太白)으로 . 삼년적리관산월(三年笛裡關山月)이오 만국병전초목풍(萬國兵前草木風)이라 던 두자미(杜子美)로 . 둥덩덩 지둥덩둥.”
그만 식고.
북 치든 늘근 총각 다시 치 쇼 엽고, 칼츔 츄든 어린아 오도 가도 아니고 션자리에 셔 잇고, 동소(洞蕭) 부던 얼근 봉 숑장 낫을 못 본 고로 쥭엄 예 모로고셔 먼눈을 덕이며 봉장추(鳳將雛)를 창불 졔, 무셔운 기(氣) 이 왈 들고, 독(毒) 가 칵 질으니 밀 심이 졈졈 쥬러 그만 자진여구나.
여인이 긔가 막켜서 울음도 울 슈 업고, 사지(四脂)가 늘은야,
“거 이를 엇지 고.”
이것덜 안지 로 여그다 두어셔 아무 와 보아도 우션 놀 갈 터이니, 방안에다 감츄고 식 고이 안아 동서편 두 벽 밋 려로 안쳐노니, 안진 거슨 명부전(冥府殿)에 십왕(十王), 집 일흠은 초상(初喪) 상, 팔상전(八喪殿) 시방문(尸房門) 닷치고셔 대문 어 비겨 셔셔 대로변을 바라보니 엇더 맛잇 연비정을 권생원 비졋게 듸,
“입아, 벗임야. 이 어 고, 하(夏) 사월(四月) 초파일(初八日)에 연자(燕子) 남으로 펄펄 날들고, 석양산로에 어로 가자나냐. 천지로 장막(帳幕) 고, 일월로 등촉(燈燭) 고, 남의 집 집 삼고, 가 길 노자(路資)되고, 멍석리 등돗삼아 두로 질너 당기다가 달은 밝고 바 찬 밤에 광츙다리 홀노 우 셔셔 이 신세를 솜솜 생각니, 팔만장안(八萬長安) 억만가구(億萬家口) 방방곡곡(方方曲曲) 가가호호(家家戶戶) 귀젹간을 질너 다니며 보와도 이런 발금 목독의 아놈 팔자 어 잇슬고. 애고애고 셜운지고.”
어스러지게 불으면서 문전으로 들어오, 산쇠털 벙거지 너분 졸라고 마가목 등덜미에 고 무든 고의젹삼 육승포(六升布) 왼골젼대 허리를 잡아고 발감기 곱게 여 집신을 들메듸, 키 장승 고, 낫은 징 고, 눈은 홰등잔(燈盞)만, 코 메쥬이, 입은 젼 장, 발은 동작이 걸우선(船)만, 초란이 탈 아니 써도 천생 말이 이어든, 여인을 썩 보더니 경(京)로 셰치를 갈기듸,
“이런 졔어미를, 그리여서 마노가 낭군의 송장 처 쥬면 두리 고 마노요오”
여인이 애근이 답여,
“그러오.”
“그 졔엄이를 할 숑장이 엇터케 죽어단 말이오.”
근 일어셔셔 두 쥬먹 근 쥐고 이 놈이 연에 해석(解釋)여,
“누를 콱 차고 두 다리 벋듸듸, 누를 탁 고 두 눈을 부릅쇼. 엑계, 그거시 용변 이어든 그도 갓슈졔. 집의 갈키 잇쇼.”
“예, 잇쇼.”
“그 놈의 눈구멍을 가 아니 보려 니 고를 슉이고셔 그 놈 눈 웃시욱을 글거셔 덥풀 테니 마노 밧게 셔셔 갈키가 웃시욱에 닷커든 닷다 오.”
이 놈이 갈키 들고 시체방에 들어셔셔 고를 콱17 슉이고, 두 손으로 갈키 들어 숑장 눈에 다이면셔,
“웃시욱에 다앗쇼?”
여인이 뒤에 셔셔,
“죠금 올이시오.”
“쇼?”
“죠금 리우시오.”
“앗쇼?”
“앗쇼”
잡아 글근 거시 손이 죡금 밋그러져 아시욱 글거 노니 눈이 불거져셔 앙고 호랑이 재조(才操)를 구나. 감아니 치아다보더니 이 놈이 놀나 갈키를 바리고 바로 여 도망 졔, 그물의 맛튼 수어(秀漁) 듯, 션불 마진 호랑이 닷듯, 곳 들고 구나.
여인이 경야 급피 급피 가며,
“여보시오, 져 손임, 말이나 고 가오.”
져 놈이 숀 헤치며,
“그런 쇼 지 마오. 나 도라가오, 나 도라가오. 위방(危邦)은 불입(不入)이라, 나 도라가오.”
여인이 연에 불너,
“송장치라 아니 니 말만 잠 듯고 가오.”
갓튼 져 미인이 옥 갓튼 말쇼로 라오며 간청(懇請)니, 오입 이라 엇지 슈가 잇나. 도라셔며 대답되,
“무슨 말 랴시오.”
여인이 말이,
“노변(路邊)에서 괴이니 집으로 두리 가서 방에셔 잠을 고 가 이리 고적(孤寂)니 말벗이나 옵시다.”
져 놈이 흠득야,
“글시다.”
허락고 여인의 손목 잡고 정담며 도로 올 졔, 여인이 자세(仔細) 무러,
“어셔 옵시며 존호(尊號) 누구신데 어로 가시다가 집을 엇지 알고 슈고로이 오신잇가.”
저 놈이 대답되,
“에, 셔울 사 뎁득이 김서방, 재상댁(宰相宅) 마종으로 경상도 황산역(黃山驛)에 조흔 말이 잇다기에 그리로 가옵다가 마노 일색으로 가군이 험사야 치상여 주 작배(作配)여 잔 말이 삼남천지 들셕여 마다 전기에 불원천리(不遠千里) 져왔쇼.”
여인이 무러,
“셔울셔 사르시고 신수 져리 건장듸 그만 송장 염려야 바리고 가시기 얼골이 누추(陋醜)여 당신 눈에 아니 드오.”
뎁득이 이 말 듯고 여인의 등을 치며,
“미인 보면 정 있다가 숑장 보면 정 러지오.”
언사(言辭) 조흔 져 여인이 속을 연해 질너 보아,
“사제갈(死諸葛)이 주생중달(走生仲達) 엣글로 말 드러더니 져러 호풍신(好風身)의 송에게 긴단 말 어듸 행세슈 잇쇼. 불상 이 신세 버리고 가신다면 고통 자진할 터이니 그 아니 불상가. 날 살이쇼, 날 살이쇼. 한양 낭군 살이쇼. 자 만일 가려 면 나를 먼 쥭여 주쇼.”
허리를 질근 안고 왼 가지 어린 냥에 백만 교태(嬌態) 다 부리니, 셔울 사나희라 뒤가 탁 풀이 허리에 젼대로 눈물을 씩기면서,
“우지 마쇼, 우지 마쇼. 아니 감, 아니 감. 쥭으면 가 쥭제 자 쥭게 것가.”
집으로 드러오며 의사를 로 여,
“네 집에 메 잇나.”
“메 무엇게.”
“영투지(寧鬪智) 불투력(不鬪力)을 몬져 생각 못 엿.”
메를 여쥬니, 뎁득이 들어메고 집 뒤으로 도라가셔 주해(朱亥)의 진비(晉鄙) 치듯, 경포(黥布)의 함관(函關) 치듯 뒷벽을 쾅쾅 치니 송장이 벽에 치여 덜퍽 뒤쳐지구나.
뎁득이가 죠와라고 시스며 장담야,
“져만놈이 엇다가셔.”
여인은 더위디 부치질질며 송장 묵거 려 졔 아모리 장사기로 송장 여들 질 슈 잇나. 근처 마을 차져 가셔 삭군을 엇더니, 맛 각셜이 셔이 달려드난듸 왼머리를 다 둥치고 가로 약간(若干) 남은 털을 감이상토 엇게여 이마에 부치고셔 영남(嶺南)의 돌임이라 영남장(嶺南)만 셰 가것다.
“을을 도라왓쇼, 각셜이라 멱셜이라 동셜이를 질머지고 모라 장타령(打令) 안경(眼鏡) 주관(柱管) 경주장(慶州場), 상복(喪服) 입은 상주장(尙州場), 이 슐 잡슈 진주장(晋州場), 관민분의(官民分義) 성주장(星州場), 이랴 쳐 마산장(馬山場), 펄 여 노리장, 명 엽페 대구장(大邱場), 순시(巡視) 압페 청도장(淸道場).”
놈은 엽페 셔셔 입장고 치고, 놈은 엽페 셔셔 살만 나문 헌 부로 뒤지를 탁탁 치며 두 다리를 빗듸듸고 허리 고.
“잘한다, 잘한다. 초당 짓고 공부(工夫)냐, 실슈 업시 잘 다. 동삼 먹고 공부냐, 긔운게 잘 다. 목구멍에 불을 켯나, 훤게도 잘 다. 죡도 둑겁다, 일망무졔 나온다. 네가 져리 잘할 젹에 네 선생은 할 말 잇나. 네 선생이 로구나. 잘 다, 잘 다. 목장에 목 쉬일나. 잘 다, 잘 다. 너 못면 가 하마.”
여인이 뭇 말이,
“목쇼 명창이나 우리집에 송 만아 즉금(卽今) 묵거 려 니 함긔 묵거 지고 가면 싹을 후이 쥴터이니 소견이 엇더가.”
져 놈들 말이,
“송장을 쳐 이면 여인고 산다기여 집신 푸치고 써 써 여 왓더니 남의 손에 여시니 송장이나 지고 갈게 송장 나 량 싹에, 슐, 밥, 고기 잘 먹이오.”
여인이 허락니 네 놈이 송장 칠 졔 등짐에 두 말이씩 공석으로 곱게 싸셔 셰 슉마 당쥴노 단단이 얼근 후에 집으로 밧글 싸셔 삭긔로 로 묵거 베달 못 러져 네 놈이 질머지고, 여인은 뒤를 라 북망산(北邙山)을 져갈 졔 어와셩 목 어울너 행색이 처량다.
“어이 가리. 너어너어. 연반군은 어가고 담불만 발가시며 곡비(哭妃) 어 가고 두견이 슬피 우노 어허너허. 명정(銘旌) 공포(功布) 어 가고 작닥이만 지퍼시며 상장(上帳) 휘장(揮帳) 어 가고 헌 공셕을 더펏난고. 어허너허. 장강(長杠) 틀은 어 가고 지게송장 되여시며 상제(喪制) 복인(服人) 어 가고 일미인만 오고. 어허너허. 북망산이 엇더키에 만고 영웅 다 가시노 진시황의 여산(驪山) 무덤, 한무제(漢武帝)의 무릉(茂陵)이며, 초백왕(楚伯王)의 곡성(穀城) 무덤, 위 태조의 장슈총(塚)이 다 모도 북망이니 생각면 가소(可笑)로다. 어허너허. 너 쥭어도 이 길이오, 나 쥭어도 이 길이라 북망산천 도라들 제 어욱 더욱 , 덥가나무, 갈앙닙, 잔 비방울, 큰 비방울, 소솔리바람 뒤셕기여 을을렁실을렁 실피볼 졔 어 벗님 오리. 어허너허. 주부도(酒不到) 유령(劉伶) 분상토(墳上土)오, 금인(今人)의 경종(耕種) 신릉(信陵墳) 생전(生前)에 번화(繁華) 부귀 쥭어지면 어 잇나. 어허너허. 지고 가 여들 분이 다 모도 호걸이라 기주탐색(嗜酒耽色) 풍류가금(風流歌琴) 청누화방(靑樓花房) 엇지 잇고 황천북망 도라가노, 어허너허.”
을 지고가니 무겁기도 거니와 길가에 잇 어덕 슈일 자리 우 죠와, 네 놈이 함 슈여 짐머리 셔로 어 일자(一字)로 부리우고 억를 려니 그만 고 송장고 짐고 삼물조합(三物調合) 도여셔 다시 변통(變通)업셔나. 네 놈이 슈 업셔 셔로 보며 통곡다.
“애고애고 엇지고. 천개지벽(天地開闢) 연후에 이런 변괴 잇슬가. 한 번을 안진 후에 다시 일 슈 업셔시니 그림에 인가 법당에 부쳐인가. 애고애고 셜운지고. 청 별노 업시 갈 만 이라 덱득이 자 신세 고향을 언졔 가고, 각셜이 우리 사정 목장을 엇지고. 애고애고 셜운지고. 여보시오, 져 여인 이게 다 뉘 탓이오. 죄 내가 지어시니 벼락은 네 마져라 굿만 보고 안져시니 그런 인심 잇것난가. 주인 송장 손님 송장 여인 말은 드를 터니 빌기나 여 봅쇼.”
여인이 비난구나.
“여보쇼, 변낭군아, 이거시 원일인가. 험악게 쥭은 송장 방 안에셔 셕을 거슬 이 네 공덕으로 염습(殮襲) 단부나왓시니, 감안이 누어시면 명당을 깁피 고 신체를 무들 거슬, 아해(兒孩) 졔 덧구지면 나을 도 덧구고, 갈슈락 이 변괴가. 어 살건난가. 집에셔 든 변으 우리지 보와더니 이러 대로변에 이 우셰을 엇지고. 이 점점 밝가오니 어셔 급피 러지쇼. 안장(安葬)을 연후에 수절시묘(守節侍墓)여 줌.”
덱득이가 중맹(重盟)을 연에 지여,
“여인의 치마귀나 만져시면 벅벗긴 아달이오. 상인(喪人)이 업셔신이 발상(發喪)이라도 오리다.”
여인이 연에 빌어,
“대사(大師), 촐보, 풍객(客)임 다 각기 맛에 게워 이 지경이 도여ㅟ니, 수원수구(誰怨誰咎)자 고 이 우셰를 식키난가. 청산에 안장 듸 하관시(下棺時)가 느겨가니 어셔 급피 러지쇼.”
아무리 애걸(哀乞)되 작 아니 구나. 날이 훤이 노니 뎁득이 말이,
“곱파 살 슈 업. 여인은 박 들고 동내(洞內)로 다니면셔 밥을 만이 어더다가 우리덜이 먹게 되 집 두어 뭇 어더 오쇼.”
“집은 무엇게.”
“몇 가 지더지 목슘 기 전지 이 자리에 잇슬더니, 비 오면 상(上)토 덥게 쥬졀이나 틀어두게.”
여인을 보 후에 각기 셜움 의논 졔 이것들 안진 듸가 원두밧 머리로셔 외 한 산영니, 막은 아직 아니 짓고 밧임 움생원(生員)이 집에셔 잠을 고 밧 보랴 일즉 올 졔, 몬지 인 묵은 관을 돗 단득기 노피 씨고, 진동죱고 된 짓 달아 쇼 조분 소(小)의(衣)와 굽 다 달은 나무신에 진 담 즁둥 쥐고, 살부 집고 오다가혀 밧머리 보고 된 목으로 악셔 무러,
“네 져것들 웻 놈인다.”
덱득이 대답되,
“담 장요.”
“그 담 맛죠흐냐?”
“십상 죠흔 상관초(草)오.”
“한 여 맛좀 볼가.”
“와셔 여 잡슈시오.”
마 고든 움생원이 담 욕심 잔득 나셔 달여들어 손 쑥너니 독 가 코 쓔시고, 손이 붓난구나. 움생원이 호령야,
“이놈, 이게 원일인고.”
덱득이 경판으로 무러,
“웨, 엇지 셨쇼?”
“괘심 놈 버릇이라 졈잔 양반손을 엇지 고 아니 놋노.”
뎁득이와 각셜이가 숀벽치며 대소야,
“누가 숀을 붓드럿쇼?”
“이것이 무엇이냐?”
“바로 하졔. 송장 짐이오.”
“네 이놈, 송장짐을 외밧머리 노왔나냐.”
“벽길 가 외밧인지 콩밧인지 아는 제어미 놈 잇쇼.”
움생원이 달여,
“그러턴지 져러턴지 손이나 여다고.”
네 놈이 각문자(各文字)로 대답여,
“아궁불열(我窮不閱)이오,”
“오비(吾鼻)도 삼척(三尺)이오.”
“동병상련(同病相憐)이오.”
“아가사창(我歌査唱)이오.”
움생원이 문자속은 익어,
“너의도 부터나냐?”
“아난 말이오.”
“할 장사가 싸닌 송장 어이 며, 송이 어 잇셔 져리 마니 바다 지고 언의 장을 가려 며, 송 중에 붓 송 생전 처음 보와시니, 내력이나 조금 알거 자상(仔詳)이 말여라.”
뎁득이 말이,
“지리산중 엣분 여인 가장이 악사야 치상을 여 쥬면 함 다기에 그 집을 차자간즉 송장이 여들이라 간신(艱辛)이 치상야 각셜이 셰 과 둘식 지고 예 왓더니 나도 붓고 계도 붓터 오도가도 못 터니 그 내력을 알 슈 잇쇼?”
움생원이 의사(意思) 여,
“그리면 존 슈 잇다. 오고가 들을 보 로 후려드려 무수이 붓처시면 소일(消日)도 될 거시오, 의사도 날 거시니 그 밧긔 슈가 업다.”
“기소불욕(己所不欲)을 물시어인(勿施於人)이라니 일은 아니 도여시되, 궁무소불위(窮無所不爲)라니 재조(才操)로 여 보오.”
이에 하동(河東) 못골, 창평(昌平) 고살메, 함열(咸悅) 성불암(成佛庵), 담양(潭陽), 옥쳐, 함평(咸平) 월앙 가리가 창원(昌原), 마산포(馬山浦), 밀양(密陽), 낭, 그 근방들 가노라고 그 압으로 지다가 움생원의 관을 보고, 거들이 졀을 여,
“소 문안오, 소 문안이오.”
그 뒤에 아기네들이 도 곱게 고 고방머리 엇게 고, 다리 압파 잘슉잘슉 지펑막 집퍼시며, 두 쥴에 다리 너코 거 등에 업펴시며, 수건으로 머리동여 긴담 무리서며, 하하 대소 우스면서, 낭낭옥어(琅琅玉語) 말도 고 무수히 오구나. 움생원이 불너,
“이 당덜아, 너의 장기로 마듸씩 잘만면 맛 조은 관 담 두 구뷧식 쥴거시니 슈어가 엇더냐.”
이것더리 담라면 밥보단 더 조커든,
“그리 옵시다.”
판노름 린 득기 가 길 건너편에 일자로 느러안져 거들은 소고(小鼓) 치며, 당은 제차(第次)로 연계당 모져 나셔 발임을 곱게고,
“산천초목이 다 성림(盛林) 구경가기 길겁도다. 어야이 장송(長松)은 낙낙(落落), 기럭이 펼펼, 낙낙장송이 다 러졌다. 이야어 셩황당 궁벅궁야 이리 가며 궁벅궁 져 산으로 가며 궁벅궁 아물도 네로구나.”
움생원이 추어,
“잘다, 입폐의 와 안거라. 네 일홈이 무엇시냐.”
“초월(初月)이오.”
나 나셔며,
“녹양방초(綠楊芳草) 졈은 에 어이 더듸 가고, 오동야우(梧桐夜雨) 셩근 비에 밤은 어이 길어고. 얼졀 말 드러 보와라, 해당화 그늘 속에 비 마진 졔비갓치 이리 흐늘 져리 흐늘, 흐늘흐늘 넘논다. 이리 보와도 일색이오, 져리 보와도 일색이오, 아물도 네로구나.”
“잘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구강선(九江仙)이오.”
년은 나셔며,
“오돌기 츈양 츈양 위월의 달은 발고며 명낭듸, 여긔다 져긔다 연져바리고 말이 못 된 경이로다. 만첩청산(萬疊靑山)을 쓕쓕들어가셔 느러진 버들나무 드립 덤 휘여고 손으로 줄울울 휼터다가 물에다 둥둥 여두고 둥덩덩실 둥덩덩실 여긔다 져긔다 년져 바리고 말이 못된 경이로다.”
“어, 다. 네 일홈은 무엇이냐.”
“일점홍(一点紅)이오.”
년 나셔며,
“갈갸보다 임을 라 갈가보다. 진 밥을 못 다 먹고 임을 라 갈가보다. 경방셩 빗두리길노 알박이 처자(處子) 앙금살살 게거 도라간다.”
“잘다, 네 일홈은 무엇이냐.”
“설중매(雪中梅)오.”
년이 나셔며 방아타령을 여,
“사신(使臣) 행차(行次) 밧분 길에 마쥭참이 중화(中和), 산도 첩첩, 물도 중중(重重) 기자왕성(箕子王城)이 평양, 모닥불에 무든 콩이 튀여나니 태천(泰川), 청천(靑天)에 가마귀 울고 가니 곽산(郭山), 차든 칼을 여 니 릴업 용천(龍川) 청총마(靑聰馬)를 둘너 타고 도라보니 의주(義州).”
“잘 다. 네 일홈은 무엇이냐.”
“월하선(月下仙)이오.”
년은 자진방아 타령을 하여,
“유각골 처녀 지장 처녀, 어라두야 방로다. 왕십리 처자 미나리장 처자, 순담양(淳潭陽) 처자 바구리장 처자, 영암(靈岩)처자 참빗 장 처자.”
“어, 잘다. 네 일홈은 무엇이냐.”
“금옥(金玉)이오.”
이리 농칠 졔, 이 에 시임(時任) 향소(鄕所) 옹좌슈가 수유(受由)고 집이 갓다 도라오 길이엇다. 도포 입고 안장마(馬)에 향청(鄕廳) 하인(下人) 후배(後陪)야 달달 도라가니 움생원이 불너,
“여보소, 옹좌수. 자가 아관(亞官)으로 긔구가 조타야 출패(出牌)나 무셔져, 날 갓튼 빈천지교(貧賤之交) 시약불견(視若不見) 지가니 부귀자교인(富貴者驕人) 말이 두고 한 말이쇠.”
좌수가 슈 잇나, 말게 나려 거려오니 움생원이 졔 엽페다 안쳐나. 좌수가 물어,
“노형의 평생 행세 가 강 짐작니, 이러 큰 길가에 셥창 행락(行樂) 의외로쇼.”
움생원이 연(連)에 우셔,
“ 갓튼 우리 인생 육십이 갓가오니 남은 날이 몃칠인가. 파탈고 놀아 쥬. 이아, 옥쳔집, 좌수님 드르시게 시조(時調)나 한나 여라.”
그렁져렁 작난(作亂) 후에 좌수가 하직여,
“향청(鄕廳)에 일 만야 총총히 도라가니 노형(老兄)은 당고 행락을 게 쇼.”
움생원이 우셔,
“ 소견로.”
좌수 일어셔니 밋역이 안러져,
“겨, 이게 웬일인고.”
움생원은 죠와라고 장 우셔 두어나.
“허허, 말 드러보쇼. 노형은 게 대면 식자(識字)도 더 드러엇고, 경락(京洛)도 출입고, 읍내 가 오 잇셔 관장(官長)도 뫼셔 보고 지사(知事) 아젼 친구 응당히 만 테니, 송장이 분 말을 자 혹 드러가.”
좌수 귀가 오 발가 놀라 급피 무러,
“이것이 송장인가?”
남은 급피 셔두듸 움생원은 훨셕 널어,
“그것은 멋시든지 장차 수작(酬酌) 려니와 송장이 붓만 말 사기(史記)에나 경서(經書)에나 혹 어셔 보와가.”
엽페 잇든 당들이 놀 이러셔니 모도 다 붓터나. 요망(妖妄) 이것덜이 각색으로 재변(災變) 졔, 애고애고 우난 년, 먼산 보고 긔막킨 년, 움생원 바라보며 덜억덜억 욕난 년, 홰에 졔 머리를 으등으등 년, 살풍경(殺風景) 어러니 좌수 어이 업셔 압말도 못 고셔 굿 보 나셔 우둑언이 안져 가,
“어부쇼, 져 짐이 다 모도 숑장인가?”
움생원 변구여,
“나씩이면 죠케.”
“둘식이란 말인가? “
“방사(倣似) 말이로쇠.”
“언의 고을 올 시절이 송장 풍년 그리 들어 몰게 지고 왓노.”
뎁득이 던 말을 움생원이 송전(誦傳)니, 좌수와 당들이 셔로 보고 걱졍다. 오 가 굿 보노라 아니 가고, 먼 마을, 근처 마을 구경자 모와드니 그리져리 모은 전주장(全州場)이 푼푼하다.
구경군 모은 호도엿장가 몬죠 아 법이엇다. 갈삭갓 쓰고 엿판 메고 가 치며 웨고 온다.
“호도엿 사오, 호도엿 사오. 계피(桂皮) 건강(乾薑)에 호도엿 오. 가락이 굴고 졔 몸이 유고 약(藥)염 맛으로 푼. 콩엿을 랴우. 엿을 랴우. 늘근이 슈에 슈슈엿 오.”
여러 덜이 호도엿 먹으며 말이,
“이것이 원혼이라, 삼현(三弦)을 걸게 치고 넉들이를 엿슨면 귀신이 감동야 응당 러질 듯다.”
목 죠흔 졔네를 급급히 청다가 좌수가 자당(自當)여 굿상을 차려노코 멋잇난 고인들이 굿거리를 걸게 치고, 목 죠흔 졔네가 넉두리춤을 츄며,
“어라 만슈, 져라 만슈. 넉슈야 넉시로다. 백양(白楊) 청산(靑山) 넉시로다. 녯 누구누구 만고(万古) 원혼(寃魂) 되얏고. 공산야월(空山夜月) 불여귀(不如歸) 촉 망제(望帝)의 넉실넌가. 무관춘풍(武關春風) 우 새 초 회왕(懷王)의 넉시로다. 어라 만슈. 청청향초나군색(靑靑向楚羅裙色)은 우미인의 넉실런가. 환패공귀월야혼(環珮空歸月夜魂)은 왕소군(王昭君)의 넉이로다. 어라 만슈 져라 신. 넉실낭은 넉반어 담고 신체(身体) 낭은 화단에 뫼셔 밥젼, 넉젼, 인물젼과 왼필(匹) 무명, 오색 번의 넉슬 불너 청좌(請座)자. 어라 만슈 져라 신. 열대왕님 부의란 사자(使者), 일(日)직 사자(使者) 월(月)직 사자(使者) 금강야차(金剛夜叉) 강임도령(道令), 이 망졔 바갈 졔 뉘가 감이 거역까. 어라 만슈 져라 신. 만승천자(万乘天子) 삼공(三公) 육경(六卿) 기구로도 할 슈 업고, 천석(千石) 노적(露積) 만금부자 갑을 쥬고 면커난가. 멀고 먼 황천길을 가면 라가네. 어라 마슈 져라 신. 지장보살(地藏菩薩) 장 공덕, 보도중생(普度衆生)랴 고 지옥문(地獄門) 다다 노코, 서양(西洋)길을 가르칠 듸 불 여들 목슘 비명(非命)에 쥭에스니 어늬 대왕 여스며, 어 사자 라갈가. 어라 만슈 져라 만슈. 지하에 듸 업고, 인간에 주인 업셔 원통이 쥭은 혼이 신체 직겨 잇 거슬 무지 인생들이 경대(敬待) 쥴 모르고셔 손으로 만져 보고 걸터안 괘심나. 어라 만슈 져라 만슈. 옹좌수 자낭은 일읍(一邑)의 아관(亞官)이오, 움생원 자낭은 양반의 도리로셔 경이원지(敬而遠之) 귀신 대접(待接) 어이 그리 모로던가. 어라 만슈 져라 신. 당 · 거 · 명창 · 가객 · 오입장이 네의 행세 취실 수 웨 잇스리. 비옵다 여들 혼령 무지 저 인생들, 허물도 과도 말고 가진 배반(盃盤), 진 삼현(三絃)에 졔츔에 놀고 가. 어라 만슈 저라 만슈.”
우도라가니 짐 넷만 남겨 놋 우의 붓튼 들은 모도 다 어져서, 졔에게 치하고 뎁득이 각셜에게 각각 하직 가구나.
이것더리 식구 만이 잇슬 난 소일(消日)기 죠왓더니 비오 파장(罷場)갓치 경각간(頃刻間)에 흐터지니 심심여 살 슈 잇나. 뎁득이가 그리도 셔울 잇 이라, 애긍(哀矜)히 사정으로 송장에게 비 목이 의지여 듯것거든,
“천고에 의기남자 원통이 쥭은 혼이 지기지우(知己之友) 못 맛나면 위로 리 뉘 잇스리. 역수상(易水上) 찬바람에 연태자(燕太子)를 하직고 함양에서 쥭어시니 협객 형경(荊卿) 불상고, 계명산(鷄鳴山) 발근 달에 우미인(虞美人)을 이별고, 오강(烏江)에 자문(自刎)니 백왕(伯王) 항적(項籍) 가령(可怜)다. 이 세상에 변서방은 협기 잇 남자로셔 슐 먹긔에 접장(接長)이오, 화방에 두시니, 간 마닥 이름잇고 마다 무셔다. 튼 져 미인과 백년을 니, 이실 튼 이 목슘이 일조(一朝)에 도라가니 원통고 분 마암 눈을 감을 슈가 업셔, 션 장승 숑장. 즁 동지(同知) 자네 신세 부처님의 제자로셔 선공부(禪工夫) 경문(經文) 외여 계행을 닥가면 힌구름 푸른 뫼에 간 마다 도방이오 비단 가사(袈裟) 연화탑(蓮花塔)에 열반면 부쳐될 듸 잠시 음욕 못 금야 비명횡사(非命橫死) 거젹 송장. 춀첨지(僉知) 자네 정경(情景) 동령(動鈴) 고사(告辭) 직업(職業)이라, 낫에 탈을 쓰고, 목에 장고 메고, 돈푼 쌀쥼 엇자 고 이집 져집 당일 젹에 것이 아덜과 짓 것이 쇼라, 탄 분복(分福)이 이러데 가량 업 미인 생각 제 명로 못 다 살고 나무 집에 두틈 송장. 풍객(風客) 한량(閑良) 다셧 분은 오입맛이 통쇽. 왕별목장 춘양가 가객이 압을 셔고, 악고 신방곡 동소(洞簫) 소 봉장추(鳳將雛) 연풍 칼춤이며, 셔셔 치 북 장단에 주막(酒幕)거리 장판이며, 큰 동내(洞內) 파시평(波市坪)에 동무 지여 당긔면서 풍류로 먹고 사니 눈치도 환 테오, 곙게도 알 터인 송장을 쳐 도 게집은 안아, 누긔 혼자 죤 골 뵈 합에 달여들어 한 한시 뭇 송장 여들 송 각기 셔름 다 원통 송이라. 사라쓸 졔 집이 업고 준은 후에 자식 업셔 놉푼 뫼 집푼 구렁 이리져리 구 를 무더주리 뉘 잇스며, 실푼 바 지는 달에 애고애고 우난 혼을 조상리 뉘 잇슬리. 생각면 허사로다, 심사 부려 슬 잇나. 이 원통 다 바리고 지부명왕(地府明王) 차져가셔 절절이 원정(願情)여 후생의 복을 타셔, 부귀가에 다시 겨 평생행락게 면 당신네 신체들은 청산에 터를 잡아 각각 후장(厚葬) 연후에 년년기일(年年忌日) 도라오면 가 봉사(奉祀) 것시니 졔발 덕분 러지오.”
애긍(哀矜)이 빈 연후에 네 놈 근 일어셔니 모두 다 러졌다.
북망산 급피 가셔 숑장 을 부리우니 셕 짐은 다 부리고 뎁득이 진 송은 강와 초란이라 등에 부터 슈 업다. 각셔리 셰 동무난 여셧 송 무더 쥬고 하직고 간 연후에 덱득이 분(憤)을 여 사면을 둘너보니 곳곳 큰 솔나무 나라니 두 주(株) 셔셔 가운 부인 틈이 나 가겻거든, 두 쥬먹을 불근 고 울울울 다름박질 솔틈으로 쑥 나가니 질머진 숑장짐이 우두둑 삼(三)동 나셔 우 아 두 도막은 에 졀퍽 러지고 가운 한 도막은 북통 갓치 등에 붓터 암만도 슈 업다. 요간폭포괘장천(遙看瀑布掛長天) 죠흔 절벽 차자가셔 등을 갈기로 드난듸 가리질 사설이 드를 만여,
“어기여라 가리질. 광산(匡山)에 쇠방고 문장공부 가리질. 십년을 마일검(磨一劍) 협객의 가리질. 어긔여라 가리질. 춘풍에 졔 나부가 향만 자가다 거미줄을 몰나시며, 산양(山陽)에 져 장가 쇼만 차자가다 포수(砲手) 우레 몰나나. 어기여라 가리질. 몬자 죽은 여덜 송장 전감(前鑑)이 발갓, 철모로 이 인생이 복철(覆轍) 발바구나. 어기여라 가리질. 네 번 죽은 목심 간신(艱辛)이 사라시니 조흘시고. 공세상(空世上)에 오입 참고 되. 어기여라 가리질.”
훨신 가라 바린 후에 여인에게 하직야,
“풍류남자 가리여셔 백년해로(百年偕老) 게 오. 나 고향 돌아가서 동아부자(同我婦子) 지 테오.”
이고 도라가셔 개과천선(改過遷善) 이 아니가. 월나라 망 후에 서시가 소식 업고, 동탁(董卓)이 죽은 후에 초선(貂蟬)이 간 업다. 이 세상 오입객(誤入客)이 미혼진(迷魂津)을 모르고셔 야용(冶容)음 분대굴(粉黛窟)에 기인도차오평생(幾人到此誤平生)고. 이 사셜 드러시면 징계가 될 듯니 좌상에 모흔 손님 노인은 백년향수(百年享壽), 소년은 청춘불로 수부귀다남자(壽富貴多男子)에 성세태평옵소셔. 덩지덩지.